업계 "은행권 저가 요금과 경쟁 되겠나" 토로
"대기업 자본이 할 수 있는 서비스 기대" 의견도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KB국민은행이 알뜰폰사업을 정식 부수업무로 인정받으면서 금융권의 알뜰폰 사업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다. KB국민은행에 이어 우리은행도 알뜰폰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영세 알뜰폰 업체드링 긴장하는 모습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KB국민은행이 신청한 알뜰폰 사업에 대한 부수업무 신고 사실을 공고했다.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사업 KB Liiv M(리브엠)은 지난 2019년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혁신금융 서비스로 지정돼 알뜰폰 사업에 진출했다.
KB리브엠 로고. [사진=KB국민은행] |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사업이 정식 부수업무로 인정받으면서 금융권의 알뜰폰 사업 진출도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우리은행은 신사업의 일환으로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알뜰폰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KB국민은행에 이어 우리은행까지 알뜰폰 사업에 진출한다면 금융권 자본이 알뜰폰 사업에 들어오게 된다. 특히 금융권은 공격적인 가입자 유치를 목표로 저가 요금제를 출시하며 마케팅에 힘을 쏟고 있다.
KB리브엠의 경우 공격적의 마케팅으로 알뜰폰 사업을 시작 이후 누적 영업손실이 700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알뜰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하반기 기준 50%를 넘어섰다.
중소 알뜰폰업체에서 제공하는 요금제보다 저렴한 원가에 가까운 요금제를 판매하면서 점유율을 높여온 것이다. 이에 지난해 말 알뜰폰 업체 상위 10곳 중 이동통신사 자회사나 은행 등 대기업 알뜰폰이 6곳으로 중소 알뜰폰업체의 4곳을 넘어섰다.
이에 알뜰폰업계에서는 거대 자본의 요금제 경쟁이 알뜰폰 생태계를 해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알뜰폰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금융권에 알뜰폰 사업을 열어주면서 많은 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며 "알뜰폰도 결국 흑자를 내야하는 사업인데 금융권의 저가 요금제 공세에 맞서 영세 업체들이 경쟁할 수 있을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김형진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도 지난해 12월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통신3사나 은행 등이 거대자본이 들어와 손해를 많이 보면서 사업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알뜰폰 사업에 은행을 필두로 한 금융권이 본격 진출하면서 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알뜰폰'으로 저렴한 요금제 제공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사업자(MNO)가 하지 못하는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가상이동통신사업자(MVNO)로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김용희 오픈루트 전문위원은 "중소 알뜰폰업체를 보호하기 위해 대기업이 할 수 있는 서비스 혁신을 막아야 한다는 것은 논의가 필요한 문제"라며 "알뜰폰이 MVNO로 기존 MNO에서 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의 알뜰폰 사업 진출로 향후 도매대가 협상에서 협상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 전문위원은 "지금 중소 알뜰폰업체가 할 수 있는 서비스에는 한계가 있다. 요금제의 차이일뿐 서비스 차이는 사실상 없다"며 "은행권이 알뜰폰 사업에 진출하면 도매대가 관련된 부분에서 협상력이 올라갈 수 있고 MNO 사업자와 연계도 다양해져 서비스 역시 다양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