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영화 티켓값 인하 논쟁에 불이 붙었다.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멀티플렉스 3사를 담합 혐의로 신고하면서 티켓 인하 요구가 거센 가운데 극장 업계의 한탄이 이어지고 있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시민단체가 26일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를 티켓 가격 담합·폭리 혐의로 공정위 신고 사실을 밝혔다. 이들이 티켓 가격 폭리를 취하며 관객에게 부담을 주고 영화계를 위기로 몰고 있단 주장이다.
이 단체들은 멀티플렉스 3사가 비슷한 시기에 같은 수준으로 가격 인상을 한 것을 두고 담합 등 불공정행위 의혹을 제기했다. 코로나19 시기 적자를 벗어나 업계 1위 업체인 CGV도 흑자로 전환됐다고도 지적했다. 를 들었으나 팬데믹은 종식됐고 CGV도 흑자로 전환했다"며 "티켓 가격도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사진은 기사와 관계없음. leehs@newspim.com |
자세히 들여다보면 업계의 형편은 여전히 어렵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CGV가 코로나 이후 4분기째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은 사실이나, 올해 상반기까지도 전체 흑자의 대부분은 베트남 등 해외 사업 흥행에서 기인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보다 영업손실을 줄이는 데에 그쳤다. 여전히 국내 매출이 코로나 이전 수준을 되찾기는 요원하다는 게 제작, 배급, 극장 측 전반의 공통된 이야기다.
불투명한 객단가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렸다. 시민단체 측은 영화 티켓값은 올랐으나 객단가는 떨어졌다며 불투명한 책정을 문제 삼았다. 반면 영화상영관협회는 "영진위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2019년 8444원이었던 객단가는 2023년 1만 80원으로 높아졌다"고 단체 측의 주장을 정정했다.
제작사, 배급사와 배분하는 구조에 관한 불만도 심심찮게 제기돼 왔지만, 극장 측은 제작, 배급 측과 5:5의 비율로 협의해 준수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한 멀티플렉스 극장 관계자는 "한국 영화인지, 외화인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부가세를 제하고 정확히 5:5는 아니어도 4.5:5.5 혹은 그 반대 수준으로 왔다갔다 한다고 봐도 무방하다"라고 말했다.
이번 담합 신고가 공정위에 제기된 것 역시 처음이 아니다. 코로나 이전인 2018년에도 1000원씩 대형 극장들이 일제히 영화 티켓값을 올리며 담합 의심을 받았다. 당시에는 공정위에서 이를 문제 삼지 않았고, 2016년에도 멀티플렉스 3사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번에도 별 다른 조치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영화 소비자들과 업계 내 다른 분야 종사자들의 요구가 야속하면서도 뼈 아픈 지점이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개봉 22일째인 영화 '범죄도시4'가 15일 1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이날 서울 시내 영화관을 찾은 관람객들이 영화 '범죄도시4' 티켓을 구매하고 있다. 2024.05.15 leehs@newspim.com |
한 극장 관계자는 "영화 티켓값의 결정은 각 사업자의 경영 판단 하에 진행된다"며, "극장의 운영 형태, 임대료, 인건비 등 유사한 비용 구조에 따른 것이지, 담합에 의한 것은 아니다"라고 상영관협회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타 회사의 인상 소식을 참고는 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격을 인상했을 때의 결과와 매출 감소를 고려해 각 주체가 결정한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말했다.
게다가 정부에서 영화 입장권 부과금 폐지를 입법 예고하면서 영화 티켓 인하에 대한 이야기는 끊이질 않는다. 이달 초 영화상영관 입장권 부과금 3%에 해당하는 부담금을 없애기 위한 영화·비디오물 진흥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7월 중순까지 예고한 뒤 국무회의를 거쳐 국회에서 통과되면 500원 정도의 금액이 인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 극장 측은 말을 아끼고 있다. 일단 국무회의와 국회 통과 등 절차가 완료돼 개정이 이루어진 후에 현실화 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공정위 신고와 영화 부담금 폐지 등 전방위적 티켓값 인하 압박에 시름하는 극장 업계 역시도 영화 산업의 큰 축인 만큼 상생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