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14억 연금자산 흔해, 美 증시 덕분
워런버핏 유언도 S&P500에 투자 권유
한국인 연금 10억 만들기 '퇴직연금+연금저축'
[서울=뉴스핌] 한태봉 전문기자 = 요즘 한국 직장인 사이에는 '연금 자산 10억 만들기'가 유행이다. 그 중심에는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이 있다. 만 25세에 취업한 직장인 기준으로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을 30년 이상 불입하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 미국인 14억 연금자산 흔해…한국과 다른 이유는?
한국에서 현재 연금 자산 10억원을 달성한 사람은 거의 희박하다. 반면 401K 은퇴계좌에 14억원(100만달러) 이상을 보유한 미국인은 무려 49만7000명(2024년 2분기 기준)에 달한다. 피델리티에 따르면 1년 전에 비해 31% 늘어난 사상 최대치다.
미국인들이 은퇴자산을 크게 늘릴 수 있었던 비결은 미국 S&P500과 나스닥100 관련 주식에 집중 투자한 덕이다. 반면 한국인들의 퇴직연금은 여전히 87%가 원리금 보장상품에 머물러 있다. 이런 구조로 은퇴시점에 연금 10억원을 만드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 몇 년간 한국인 중 상당수는 해외주식 활황으로 쏠쏠한 수익을 봤다. 이에 현재 30대, 40대, 50대 직장인 중에는 퇴직연금 계좌 안에도 미국 S&P500이나 나스닥100 ETF에 집중 편입해 고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
◆ 워런버핏 유언도 S&P500에 투자해라
이런 변화의 핵심은 결국 수익률이다. 한국인들의 미국 S&P500과 나스닥100 ETF 사랑은 엄청나다. 한국에 상장된 미국 주식 ETF 중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S&P500 ETF의 순자산총액은 4조9100억원,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3조8300억원이다.
삼성자산운용, 한국투신운용, KB자산운용까지 상위 4개사만 다 합쳐도 15조원이 훌쩍 넘는 엄청난 규모다. 이는 한국 투자자들이 절세 혜택을 감안해 본인의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에 S&P500과 나스닥100 ETF를 대거 편입한 덕이다.
투자의 달인 워런버핏도 유언장에 "내가 죽거든 재산의 90%는 미국 S&P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에 투자하고 나머지 10%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라"는 유언을 남긴 바 있다. 이는 주식에 대해 잘 모르는 배우자를 위한 포트폴리오다. 그 만큼 미국에서든 한국에서든 S&P500 지수에 대한 믿음은 확고하다.
◆ 연금자산 장기투자…변동성 못 버텨?
그런데 평범한 직장인이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는 주식시장에서 25~30년 이상 장기투자 하는 게 가능할까? 최근 몇 년간은 워낙 증시가 호황이라 많은 직장인들이 미국 주식 장기투자에 확신을 보인다. 하지만 시계바늘을 25년 전으로 돌려보면 주식 장기투자가 결코 쉽지 않음을 알게 된다.
주식 투자 수익률은 기준점이 어느 연도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IT 버블의 정점인 2000년도를 투자 시작점으로 가정해서 25년 간의 수익률을 계산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2000년도의 IT 버블 붕괴를 이해하려면 먼저 그 이전의 나스닥 지수 폭등부터 살펴봐야 한다. 나스닥 지수는 1998년 10월의 1344포인트를 바닥으로 2000년 3월의 5133포인트까지 불과 17개월 만에 4배 가까이 폭등했다.
문제는 이 당시의 주가 상승은 정말 비이성적이었다는 점이다.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신경제'라는 새로운 이론이 등장하면서 회사 이름에 '닷컴'만 포함됐으면 사업성 상관없이 미국이든 한국이든 미친 듯이 폭등했던 대버블의 시대였다.
그 이후 갑작스럽게 발생한 IT버블 붕괴로 시작된 주가 하락은 2000년 3월부터 시작돼 무려 31개월간 진행됐다. 심지어 이 하락 기간에 9.11 테러까지 터졌다. 증시의 숨통이 끊어질 듯한 복합 위기 상황이었다.
나스닥 지수는 이 때부터 3년 연속 하락해 2000년 -39%, 2001년 -21%, 2002년 -32% 폭락했다. 미국 S&P500 지수 역시 2000년 -10%, 2001년 -13%, 2002년 -23%로 3년 연속 약세를 보였다.
최고점 대비 지수 하락률은 더 극적이다. 이 당시 S&P500 지수의 최고점 대비 하락률은 -50%였다. 나스닥 지수의 최고점 대비 하락률은 무려 -78%다. 한국증시도 심각했다. 2000년 한 해에만 한국 코스피 지수는 -51%, 코스닥 지수는 -79% 대폭락했다.
이후 주가는 잠시 회복됐지만 2000년대 후반기에 다시 시련의 시기가 찾아왔다. 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 S&P500 지수의 최고점 대비 하락률은 단 1년 만에 -58%, 나스닥 지수는 -55%를 기록했다.
만약 2000년초에 나스닥 지수 4069포인트로 투자를 시작했다면 9년이 지난 2008년말까지도 1577포인트에 머무르는 끔찍한 성적표를 받아 들여야 했다. 평범한 직장인 중에 9년 누적수익률 -60%를 견딜 수 있는 사람은 흔치 않다. 퇴직연금을 통한 주식 장기투자가 생각보다 어려운 이유다.
◆ 미국 주식 불패 신화는 2009년부터 시작
미국 주식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체질이 확 바뀌었다. 2009년 한 해 동안 S&P500 지수는 23%, 나스닥지수는 44% 대 반등에 성공했다.
이후 2017년말까지 9년 간 S&P500과 나스닥 지수가 소폭이라도 마이너스를 보인 해는 각각 한 해에 불과했다. 그 한 해마저도 S&P500 지수는 -1%, 나스닥 지수는 -2%의 미미한 하락을 보였을 뿐이다. 미국 주식 불패 신화의 시작이다.
이 9년 간 S&P500 지수의 누적수익률은 196%다. 같은 기간 나스닥 지수 누적수익률은 338%다. 같은 기간 한국 코스피 지수의 누적수익률은 199%, 코스닥 지수 누적수익률은 140%에 달한다. 본격적인 주식투자의 시대가 열린 셈이다.
◆ 미국 주식 25년 장기 수익률은 최소 300%?
2018년부터 2024년 9월말까지 지난 6년 9개월 미국 증시에는 2번의 큰 변화가 있었다. 첫 번째 변화는 코로나19 전염병의 확산으로 2020년 1분기의 일시적인 주가 대폭락이다. 하지만 이후 연준의 제로금리 정책에 힘입어 주가는 오히려 급등세를 이어 갔다.
두 번째 변화는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2022년에 발생한 증시 조정이다. 2022년에 S&P500 지수는 -19%, 나스닥 지수는 -34% 폭락했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50% 이상 대폭락과 비교하면 양호한 조정이다. 또 이후 2023년과 2024년의 연속 상승으로 다시 전 고점을 돌파하며 새로운 신고가를 갱신 중이다.
정리해 보면 2000년 IT 버블 당시의 고점 수준에서 주식 투자를 시작했더라도 지난 25년 간 미국 S&P500 지수의 누적수익률은 무려 292%를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한 때 -70% 이상 폭락했음에도 지난 25년 간 누적 수익률은 347%다. S&P500 지수 수익률을 능가한다. 가장 고점이었던 2000년도가 아니라 더 낮은 지수대에 미국 주식에 투자했다면 수익률은 훨씬 더 높아진다.
하지만 한국 증시는 결이 좀 다르다. 한국 코스피 지수의 25년 간 누적 수익률은 152%로 그나마 양호하다. 하지만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 수익률은 -70%로 심각하게 부진하다. 이는 2000년의 IT 버블 당시 코스닥 지수가 워낙 비이성적으로 폭등했던 영향이 크다. 어쨌든 한국 주식에 장기투자 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설명되는 데이터다.
◆ 고평가 논란 미국증시…계속 투자해도 될까?
원∙달러 환율의 움직임도 중요하다. 지난 25년 간 원∙달러 환율은 대체로 1000원에서 1400원 사이에서 움직였다. 현재 환율 1390원 레벨에서는 상당한 환차익이 발생 중이다.
지금도 수 많은 직장인이 본인의 퇴직연금 계좌에 한국 주식 대신 미국 S&P500과 나스닥100 ETF를 집중 편입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증시 고점 논란이 한 창이다.
과거 사례에서 봐 왔듯이 미국 시장이 유망해도 진입시기에 따라 수익률 격차가 크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고점 논란이 부담될 수밖에 없다. 특히 기존 보유자보다 신규 진입을 고려 중인 직장인들의 고민이 더 크다.
일단 1390원의 고환율부터 문제다. 또 사상 최고가를 기록 중인 미국 S&P500이나 나스닥100 ETF를 선뜻 퇴직연금 계좌에 편입하기에는 심리적 부담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이 권하는 건 적립식 투자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미국 증시가 인기 있는 건 고배당,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 미국에 몰려 있는 강력한 인공지능 기업들, 미국의 국제적 위상, 장기적인 달러 강세 전망 등 복합적이다"라고 설명했다. 또 "반면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은 날이 갈수록 뒤처지고 있다"며 "만약 현재의 미국 주가지수가 부담스럽다면 적립식 투자를 통해 투자시기를 분산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다"며 미국 주식 ETF의 효용성을 강조했다.
한국에서도 10~20년 뒤에는 퇴직연금으로 '연금 자산 10억 만들기'에 성공한 직장인들이 대거 등장할 수 있을까? 한국 은퇴 예정자들의 미래가 미국 증시에 달려 있는 이유다.
④편에서 계속…
longinu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