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생활경제

[유통업계 결산] ③K푸드, 내수 침체 속 해외에서 빛난 한 해

기사입력 : 2024년12월25일 14:16

최종수정 : 2024년12월27일 11:49

경기침체·내수부진 어려움에도 해외서 성장…라면·김 등 역대 최대 수출
아시아 넘어 미국·유럽서도 먹하네…식품가 3조 클럽 11개로 늘어
현지 법인 세우고 공장 짓는다…글로벌 기업과 경쟁 채비

2024년 유통업계는 경기 불황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오프라인 유통은 실적 위기에 직면했고, 이커머스는 C커머스 공습으로 신성장 동력 확보에 고심했다. 식음료 업계는 내수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 시장 공략에 주력했다. 올 한 해 유통업계를 결산했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2024년은 이른바 'K푸드' 신기록이 쏟아진 한 해다. 라면, 김, 김치 등을 찾는 해외 소비자가 늘면서 식품업체들은 신시장 개척에 발 빠르게 움직였다. 해외 성장에 힘입어 올해 연매출 '3조 클럽' 식품업체도 기존 대비 늘어날 전망이다. 경기침체 심화로 내수시장이 쪼그라드는 등 어려운 환경에서 쌓아온 성과라 더욱 의미가 깊다.  

[유통업계 결산] 글싣는 순서

1. 불황에 탄핵 정국까지 이중고…젊은 총수 전면에
2. C커머스 공습·티메프 사태…위기에 몰린 이커머스
3. K푸드, 내수 침체 속 해외에서 빛난 한 해

◆라면·김·김치·베이커리도…'K푸드' 이름값 쏠쏠

2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11월 라면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0% 증가한 11억3840만달러(약 1조 6614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달성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운 실적이다. 지난해 연간 라면 수출액 9억5200만달러(1조 3893억원)다. 올해 11월까지 누적 기록으로 지난해 기록을 넘어선 셈이다.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 전광판에 삼양식품의 불닭 소스 광고가 상영되고 있다. [사진= 삼양라운드스퀘어]

이 기간 과자류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5% 늘어난 7억570만달러(1조296억원)이고, 음료 수출액은 14.9% 증가한 6억930만달러(8890억원)다. 냉동 김밥과 즉석밥, 떡볶이 등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억7500만달러(1094억원)로 같은 기간 39.3% 늘었다. 모두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기록이다.

또한 김치 수출액은 같은 기간 1억4700만달러(2145억원)로 3.9% 상승했다. 특히 미국 수출액이 4200만 달러(612억원)로 17.2% 늘었으며 네덜란드에서는 27.1% 오른 900만달러(131억원)로 집계됐다. 베이커리 수출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4억400만달러를 기록하며 기존 최대 실적을 넘어섰다.

김 수출액도 올해 사상 최초로 10억 달러(약 1조4591억원)를 넘어설 전망이다. 해양수산부와 수협중앙회가 집계한 올해 1~11월 김 수출액은 9억2000만달러(1조3424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25.2% 증가했다. 관련해 지난해 연간 김 수출액은 7억9000만달러(1조1527억원)다.

◆해외 선방 식품가, '3조클럽' 9개→11개로 

해외사업 순항에 힘입어 식품업체들의 체급도 커지고 있다. 올해 첫 '3조 클럽', '4조 클럽'입성이 전망되는 업체들도 줄줄이 대기 중이다.

삼양식품은 최근 식품업계 최초로 '7억불(약 1조2000억원)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수출탑은 수출 증대에 기여한 업체에 주는 상이다. 삼양식품은 대표 수출 품목인 '불닭브랜드'의 세계적 인기로 매년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하며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삼양식품의 수출액은 총 9638억원으로 전체 매출에서 수출 비중이 77%에 달한다.

'비비고'를 앞세워 글로벌 공략에 힘을 주는 CJ제일제당도 해외 식품사업 규모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CJ제일제당의 해외 식품 사업 매출액은 올해 3분기 누적 4조1027억원이다. 내수 사업은 부진한 반면 해외시장에서 선방, 해외 사업 비중이 50%를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롯데칠성음료는 올해 처음으로 연매출 4조원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롯데칠성음료는 올해 제로슈거 소주 '새로'와 맥주 '크러시' 등 주류사업부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특히 지난해 말 경영권을 취득한 필리핀 펩시의 실적이 올해부터 온전히 반영된다.

꼬북칩을 들고 있는 미국 소비자들. [사진= 오리온]

오리온과 풀무원도 3조 클럽 입성이 유력하다. 양사 모두 미국 등 해외시장에서 훌륭한 성과를 냈다. 풀무원의 미국 법인은 올해 연간 기준 첫 흑자 전환을 목전에 두고 있다, 코스트코 등 채널 확대 및 현지 생산을 통한 물류비 절감으로 적자폭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오리온은 올해 미국과 유럽시장에 보폭을 넓혔다. 오리온 대표제품 꼬북칩은 올 한 해 북미에서만 200억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또 지난 9월 말 영국·스웨덴·아이슬란드에 있는 코스트코 31개 점포에 초도 물량 공급을 완료했고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올해 식품업계 연매출 3조원 이상 기업은 총 11곳으로 늘어난다. 지난해 기준 3조 클럽에 속한 식품기업은 CJ제일제당, 동원F&B, 롯데웰푸드, 대상, SPC삼립, 오뚜기, 농심, 롯데칠성음료, CJ프레시웨이 등 총 9곳이었다. 이 중 CJ제일제당, 동원F&B, 롯데웰푸드는 4조원대 연 매출을 기록 중이다.

◆바다건너 글로벌 경쟁 채비…현지 공장 짓고 몸집 확대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한 식품업체들의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CJ제일제당 자회사 슈완스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미국 중부 사우스다코타에 북미 최대 규모 아시안 식품 제조공장을 짓고 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에도 비비고 만두 생산공장을 추가로 건립한다. CJ제일제당은 현재 미국, 유럽, 중국, 베트남 등에서 33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삼양식품은 최근 첫 해외공장 부지로 중국을 낙점하고 싱가포르에 법인을 설립했다. 중화권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오는 2027년이면 물량 부족이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내년 상반기 밀양2공장 완공을 앞두고 있어 수출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미국 ABC 채널의 유명 토크쇼 '지미 키멜 라이브!'에 CJ제일제당의 비비고 찐만두가 나오는 장면. [사진= CJ제일제당]

농심은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에 연간 5억 개의 라면을 생산할 수 있는 '녹산 수출전용공장'을 2026년 상반기까지 완공랑 예정이다. 농심의 연간 수출용 라면 생산량은 기존의 부산공장과 합쳐 연간 10억 개로 현재보다 2배 늘게 된다.

오리온은 연내 베트남 하노이 공장을 증설하고 호치민과 하노이에 추가 공장을 세우기 위한 부지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오리온은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 인도 등에 총 11개의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대상은 폴란드에 건립한 신규 공장을 내년부터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대상은 해당 공장을 유럽시장 공략을 위한 전진기지로 삼고 2030년까지 연간 3000톤 이상의 김치를 생산할 방침이다.

경기침체 장기화와 인구감소 등으로 내수 식품시장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내년 식품업체들의 해외공략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여전히 해외 시장에서 K푸드는 여러 식품 카테고리에서 작은 파이를 차지한다"며 "아직 미진출한 국가, 지역도 적지 않기 때문에 성장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