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중요 전산장비 위주로 실시했는가" 질문에 '긍정'
부정선거 의혹엔 "계속된 주장에 안타까워"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사무총장이 11일 국가정보원의 보안 점검에 대해 "국정원이 자의적으로 선별해서 진행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7차 변론기일 증인으로 출석해 "국정원이 12주 (점검)하는 과정에서 기간이 한정되고 인원이 제약되니 310여대밖에 못 했다. 선관위가 이건 안 된다고 한 건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 |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11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7차 변론기일에 출석했다. 사진은 김 사무총장이 지난해 12월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김 사무총장에 앞서 증인으로 출석한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은 선관위 보안 점검에 대해 "저희는 점검을 많이 하고자 했지만 제약이 있어서 많이 할 수 없었다. 집계해 보니 전체 5%를 점검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국회 측은 "보안 컨설팅에 대한 구체적 점검 방법과 관련해서 당시 선관위는 서버를 포함해 보유 중인 모든 전산 장비 6400여대에 대한 접근 권한을 국정원에 부여했고, 국정원은 선거시스템 관련 중요 전산장비 위주로 대상을 310여대로 선정해 보안점검을 실시했는가"라고 물었다.
이같은 국회 측 질문에 김 사무총장은 "그렇다"라고 답했고, 이어 국회 측이 "당시 보안 점검이 미시행된 장비는 선거 시스템과 관련이 적은 일선 직원 업무에 사용된 PC가 대부분이었는가"라는 질문에도 "네. 개인 PC가 6000여대 정도로, 선거 서버와 같이 점검 대상이 됐던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김 사무총장은 부정선거 논란에 대한 우려도 표했다.
그는 "우리는 사전투표제도를 운용하기 때문에 서버의 도움을 받아 선거를 치를 수밖에 없다"며 "서버가 공격을 받아 선거 조작이 가능해지면 그 자체로 해당 선거는 무효이다. 그러면 재선거를 할 수밖에 없고 극심한 사회 혼란이 벌어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마침 국정원에서 같은 내용을 점검한다고 해서 이해관계가 맞아 진행한 사항"이라며 "실제 보안컨설팅 결과 이후 정부에서 상당한 돈을 지원해서 선거 서버를 개선했다. 그런 상황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고, 계속해서 서버와 관련된 부정선거 주장이 이뤄진다는 것에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