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정권교체 못하면 역사의 죄인될 것"
비호감도·항소심 리스크..."李, 신뢰 회복 필요"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통합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 조기 대선이 예상되는 가운데 당내 유력 주자로서 비명(비이재명)계를 끌어안으며 외연을 확장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재판 결과 등은 여전히 위험 요소로 평가된다.
이 대표는 13일 국회에서 최근 복당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만난 것을 시작으로 김부겸 전 국무총리,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과도 회동할 예정이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만나 회동을 하고 있다. 2025.02.13 pangbin@newspim.com |
이 대표는 이날 김 전 지사와 만난 자리에서 "많은 분이 지적하는 것처럼 지금 상황이 매우 엄중하므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데 우리 민주당이 더 크고 더 넓은 길을 가야 할 것 같다. 지사님이 완벽하게 옳다"며 '헌정수호 연대'를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자신을 죽이려 했던 세력과도 손을 잡고 첫 번째 정권교체를 이뤄낸 바 있다"며 이 대표를 향해 뼈 있는 지적을 했다. 그는 "만일 이번에 정권교체를 못 하면 우리 모두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며 "이 당(민주당)이 더 다양해져야 한다. 다른 목소리를 용납하지 않는 극단과 배제의 논리는 반드시 극복돼야 한다"고 했다. 또한 "팬덤정치의 폐해도 극복해야 한다. 팬덤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 당의 시스템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온라인 이외엔 당원들이 서로 토론하고 참여할 공간이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다"며 "온라인 중심의 소통 구조는 반드시 극단화로 가기 마련"이라고 했다.
두 사람은 한 시간여가량 진행된 회동에서 '통크게 통합해서 민주주의를 지켜나가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이 대표는 계파 간 화합의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다. 야권 잠룡들이 이 대표 중심의 '일극체제'를 연일 비판해도 '당내 다양성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이어왔다.
그러나 이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는 여전히 그가 풀어야 할 숙제라는 지적이다. 야권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이날 CBS라디오에서 이 대표의 통합 행보에 대해 "이 대표 하기 나름이다. 그동안 지은 죄가 많다. 지난 총선 과정에서 얼마나 모질었나"라며 "이 대표가 워낙 신뢰를 잃었다. 비호감도도 제일 높은 정치인 아닌가"라고 했다. 유 전 총장은 "(이 대표가) 무슨 정책을 얘기해도 결국은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단시간에 그 신뢰가 회복될지 모르겠다"고 짚었다.
원외 비명계 모임인 초일회 간사를 맡고 있는 양기대 전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로 정권교체가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는 게 현재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양 전 의원은 "민주당이 신뢰를 받으려면 누가 봐도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대선 후보가 결정되고 또 그런 대선 후보 선정 절차는 공정하고,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룰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내 한 재선 의원은 통화에서 이 대표의 통합 행보에 대해 "생각이 다르거나 서운했거나 하는 사람들을 계속 만나는 수밖에 더 있겠나"라며 "이 대표의 재판 결과는 상존하는 리스크로 생각해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윤석열을 탄생시킨 정치 세력들에게 또다시 나라를 맡기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게 공통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통합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heyj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