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 대비 5.2% 하락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4000만원 밑으로 떨어졌다. 이는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저가 매물 위주의 거래가 이뤄지고 고가 거래 비중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거래가격은 3.3㎡당 3996만원으로 전월 대비 5.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
평균 매매거래가격이 낮아진 자치구는 ▲서초구 -12.6% ▲강북구 -5.9% ▲관악구 -5.6% ▲은평구 -4.3% ▲강서구 -3.7% 순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1월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7639만원으로, 전월(8742만원) 대비 12.6% 하락했다. 서초구의 1월 매매거래량은 87건으로 전월(146건) 대비 40%가량 감소했으며, 래미안원베일리 등 랜드마크 고가 단지 거래 비중이 줄면서 평균 거래가격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1월 서초구의 15억원 초과 매매 거래 비중은 74.7%로, 지난해 12월(83.6%)보다 8.9%p 감소했다.
강북구는 전용면적 85㎡ 이하 소규모 단지의 저가 매물 거래가 늘면서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관악구는 신림동 삼성산주공 전용면적 113㎡ 주택이 6억7000만원, 관악산휴먼시아2단지 전용면적 82㎡ 주택이 5억7500만원에 거래되는 등 시세 대비 저렴한 거래가 이뤄졌다.
한편 평균 매매가격이 오른 지역은 ▲종로구 31% ▲서대문구 10.7% ▲영등포구 6.3% ▲용산구 5.8% ▲도봉구 5.7% 순으로 조사됐다.
종로구는 거래량은 많지 않았지만 경희궁자이3단지 전용면적 59㎡ 주택이 18억1500만원에 신고가로 거래됐다. 서대문구는 e편한세상신촌, 신촌푸르지오 전용면적 59㎡ 주택이 13억5000만~15억4500만원에 거래되며 평균 매매가격을 끌어올렸다.
면적별 평균 매매 거래가격을 살펴보면 전용면적 85㎡ 초과 구간의 가격 하락폭이 가장 컸다.
지난달 서울 전용면적 85㎡ 초과 구간의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5068만원으로 전월(5389만원)보다 6% 낮았다. 최근 매수 수요가 감소하면서 환금성, 구입 자금 및 유지관리비 부담 등으로 중대형 면적대 거래가 줄어든 가운데 일부 저가 매물 위주의 거래가 이뤄지면서 다른 면적 구간 대비 가격 하락폭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 외 면적 구간으로는 전용면적 60㎡ 이하는 -2.8%, 60~85㎡ 면적대는 -4%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343건(2월 12일 기준)으로, 2023년 12월(1789건)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직방 관계자는 "당분간 이와 같은 주택 시장 분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가 시행될 예정으로, 정부의 대출 규제가 계속됨에 따라 매수세 회복은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단지들에 대해서는 "거래가 자유로워지면서 그동안 규제로 인해 위축됐던 고가 지역에서 일부 거래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2월 매매 거래 가격이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