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민연금 외환 스와프에도 금융기관 '분기말 효과'로 예수금 증가해"
금융기관 BIS 자본비율 준수 등으로 외화 예금도 증가 시켜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3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096.6억 달러로 전월말 대비 4.5억 달러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3일 '3월말 외환보유액'이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등에도 불구하고 분기말 효과로 인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증가와 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화 환산액 증가, 외화자산 운용수익 증가 등에 힘입어 전월말 4092.1억 달러에서 4096.6억 달러로 4.5억 달러 증가했다"고 밝혔다. 1, 2월 연속 감소하다 올들어 첫 증가 전환이다.
분기말에는 금융기관들은 국제결제은행(BIS) 자본 비율 준수를 위해 외화표시 예금 등 예수금을 증대시킨다. 또 3월 중 미 달러화지수(DXY)는 약 3% 하락했다.
통계가 확보 가능한 2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전월과 같은 세계 9위 수준이다.
외환보유액은 연초 2개월 연속 하락하며 지난달말 2020년 5월(4073.1억 달러) 이후 최저치까지 떨어지며 우려를 불러 일으켰다. 특히 이창용 한은 총재가 작년 12월말 "외환보유액이 4100억 달러 아래로 내려갈 정도는 아니다"라고 자신했는데 보유액이 이 '선' 아래로 내려가자 시장에서는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다.
3월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 3615.3억 달러(비중 88.3%), 예치금 241.7억 달러(5.9%), SDR 149.8억 달러(3.7%), 금 47.9억달러(1.2%), IMF 포지션 41.9억 달러(1.0%)로 구성돼 있다.
한은은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거래가 확대된 데도 예수금 증가 등으로 보유고가 소폭나 증가세를 보이며 보합권을 유지한 것에 의미를 뒀다.
한은과 기획재정부 등 외환당국은 지난해 12월 달러/원 환율이 급등하자 국민연금과의 외환 스와프 한도를 기존 50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로 늘렸다. 외환 스와프란 국민연금이 해외 자산 매입에 필요한 미국 달러를 시장이 아닌 외환보유액에서 빌린 뒤 나중에 되갚는 방식이다. 금융시장의 달러 수요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지만, 빌린 만큼 외환보유액이 일시적으로 줄어든다.
실제 3월 외환보유액에서 유가증권(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 증권)에서 전월대비 41.5억 달러가 늘어난데 비해 외환스와프 등 예치금에서 전월대비 38.4억 달러 감소해 극심한 대비를 보였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4.02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