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진흥재단, 2025 '해외 미디어 동향' 1호 발간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언론사가 뉴스 데이터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를 주도하거나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최근 뉴욕타임스는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며 강경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NYT는 2023년 12월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기사 저작권을위반했다는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뉴욕포스트는 2024년 10월 AI 검색 플랫폼(기반 서비스)인 '퍼플렉시티'에 저작권 소송을 냈다.
![]() |
오픈AI와 챗GPT 로고. [사진=뉴스핌 DB] |
국내에서도 KBS 등 주요 방송사가 포털사이트 네이버를 상대로 뉴스 무단 사용에 관한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 중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9일 '해외 미디어 동향 제1호 AI 플랫폼과 언론사의 제휴 동향을 발표, 국내 언론사들이 AI 산업 내에서 영향력 있는 주체로 자리매김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언론계가 선제적으로 뉴스 데이터의 적정 가치를 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LLM 개발사들이 데이터의 기여도와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언론사가 뉴스 데이터의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를 주도하거나 적극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 |
[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
생성형 AI 업계에서는 뉴스 데이터를 상품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LLM 개발 선두주자인 구글은 언론사와의 뉴스 데이터 계약에서 유일하게 확인된 사례는 2025년 1월15일 발표한 AP통신과의 제휴뿐이다. 퍼플렉시티는 미국 타임지와 영국의 인디펜던트지 등 매체 10여 곳과 계약을 맺었고, 한국에서도 올해 3월 매일경제와 이데일리와 첫 파트너 협약을 체결했다. 퍼플렉시티는 LLM 개발은 거의 하지 않고 주로 오픈AI 등 타사의 LLM 모델들을 가져와 검색 서비스에 활용하는 곳이다.
언론재단 측은 "LLM 개발사들은 데이터의 기여도와 가치 측정에 소극적 경향 보이고 있다. 언론사가 뉴스 데이터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를 주도하거나 적극적으로 지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finevie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