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지 라이크 방식은 글로벌 확장에 한계… 유저 주도 경제 시스템 고민"
"규제 리스크 재발 방지가 최우선, 기관 투자자 진입 대비 신뢰 구축 주력"
"위믹스 보유자에 실질적 혜택 부여 방안 검토 중…유틸리티 강화 예고"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위믹스(WEMIX) 재단이 11일 온라인으로 열린 '위믹스 홀더 대상 간담회'를 통해 최근 해킹 사태에 대한 사과와 함께, 블록체인 사업의 지속 의지와 토큰 유틸리티 확대 방안을 밝혔다.
김석환 위믹스 PTE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위믹스 재단의 블록체인 사업 현황과 향후 전략을 설명하고, 홀더들의 질문에 직접 답변했다.
김 대표는 "지난 2월 28일 발생한 해킹 사고로 위믹스 생태계가 큰 충격을 받았다"며 "회사뿐 아니라 홀더들이 입은 피해와 상실감에 깊이 공감하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 |
11일 정오 위믹스 재단 유튜브 채널에서 열린 '위믹스 홀더 대상 간담회' 모습. 김석환 위믹스(WEMIX) PTE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위믹스 재단 유튜브 채널] |
이어 "위믹스 블록체인 사업은 위메이드의 미래 성장을 이끌 가장 확실한 동력"이라며 "이제는 단기 성과보다는 지속 가능성을 중심에 둔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생존을 넘어, 지속 가능한 재단과 팀,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번 간담회에서 게임 비즈니스 모델(BM)과 관련해 확률형 아이템 기반 구조의 한계를 짚었다. 그는 "리니지 라이크류 구조로는 북미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를 보기 어렵다는 판단"이라며 "확률형 BM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확률형 아이템에 의존하지 않는 게임 경제 시스템이야말로 블록체인 토크노믹스에 적합하다"며 "유저가 직접 가치를 창출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BM 구조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사진은 지난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컴타워 대강당에서 열린 기자회견 현장. 김석환 위믹스(WEMIX) PTE 대표가 사과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
위믹스 코인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도 소개됐다. 김 대표는 "위믹스를 단순히 거래소에서 매매되는 자산이 아닌, 게임과 서비스 내에서 실질적 효용을 갖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며 "예를 들어 위믹스 스테이킹을 통해 사전 예약에서 혜택을 제공하거나, 플랫폼 내 기축통화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관 투자자 유입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규제 대응 전략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위믹스를 금융 투자상품으로 보지는 않지만, 규제 리스크가 사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규제를 준수하고, 투명한 운영을 통해 언젠가 기관 투자자 대상 우선순위에 오를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메인넷 생태계 활성화 전략과 관련해서는 단순 리워드 중심의 프로모션보다는, 게임 기반의 실질적 유저 트래픽 확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순한 보상은 어뷰징을 유발해 오히려 홀더들에게 피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위믹스 플랫폼에 온보딩되는 게임과 유기적으로 연결해 트랜잭션을 늘려가는 구조가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위메이드의 가장 큰 강점은 기업가 정신"이라며 "북미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구조로 전환하고, 혁신을 멈추지 않겠다. 실패의 리스크보다 도전하지 않는 것이 더 큰 위험이며, 위믹스는 그 도전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