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철 전남도의원 "외벌이 가정도 이용할 수 있게 해야"
'선택형 돌봄' 희망한 초등 1~2학년 '135명' 이용 못 해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교육부가 올해 초등학교 2학년 학생까지 '늘봄학교'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고 밝힌 가운데, 전남도교육청의 지원 현실 문제가 제기됐다.
전남도의회 김재철 의원(더불어민주당·보성1)은 15일 전남도교육비특별회계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늘봄학교가 정상적으로 정착되지 않고 있으며, 인력 및 공간 문제로 돌봄을 원하는 모든 학생이 지원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
김재철 전남도의원이 전남도교육비특별회계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김종만 글로컬교육협력과장에게 '늘봄학교'와 '교육발전특구'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사진=전남도의회] 2025.04.18 ej7648@newspim.com |
김 의원이 전남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군별 늘봄학교 지원 현황'에 따르면, '선택형 돌봄 프로그램(오후 늘봄)'을 신청한 1만 2028명 중 135명이 실제 이용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부 과밀학교의 경우 개학 전 학부모들에게 보낸 가정통신문에서 저소득층(1순위), 한부모·조손가정(2순위), 맞벌이 가정(3순위) 자녀 순으로 '늘봄교실' 신청을 받고, '3순위 희망자가 많으면 추첨한다'고 안내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재철 의원은 "맞벌이 가정까지만 신청받은 초등학교들이 있기 때문에 '돌봄을 희망했지만, 지원받지 못한 학생이 135명이다'라고 할 수는 없지 않냐"고 꼬집자, 전남도교육청 김종만 글로컬교육협력과장은 "현실적으로 과밀학급 같은 경우에는 연초에 희망 인원을 조사받아 일정 학생 수를 세팅해서 운영이 되는 상황인데 중간중간 약간 변수는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우수사례에 전남은 없다"면서 "(교육)지원청별로 교육발전특구 예산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데 맞벌이나 외벌이 가정 구분 없이 누구나 희망하면 늘봄학교를 이용할 수 있게 교육발전특구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후 돌봄뿐만 아니라 늘봄학교 전체적으로 수요에 부응하는 양질의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육지원청도 적극 노력해 달라"고 덧붙였다.
늘봄학교는 정규수업 외 다양한 교육 자원을 통합해 학생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내년에는 전국 초등학생으로 확대될 예정인 가운데, 전남외 다른 시도의 일부 학교에서도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