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검찰이 지난해부터 '마약류 밀수·유통 전담수사팀'을 운영해 약 1년간 26명을 재판에 넘겼다.
서울중앙지검 강력범죄수사부(김보성 부장검사)는 지난해 3월께부터 약 1년간 집중수사한 결과 유럽, 북미, 중남미, 호주, 동남아 등 5개 대륙발 마약류 밀수를 적발하고, 수입·유통 총책, 해외발송책 등 총 32명을 입건해 26명을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위반(향정) 등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18일 밝혔다.
![]() |
수사팀은 미국 국토안보수사국(HSI), 서울본부세관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 수집 첩보에 대한 신속한 수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수사팀은 독일, 네덜란드, 폴란드에서 MDMA 약 4000정, 필로폰 약 110g을 수입한 일당 18명을 입건하고, 국내 밀수·유통 총책 등 13명을 구속기소했다.
또 수사팀은 호주에서 케타민 약 800g을 들여온 일당 6명 중 국내 밀수・유통 총책 등 5명, 멕시코에서 필로폰 약 173g 수입한 해외발송책 및 국내 밀수・유통 총책 등 5명 전원을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겼다.
수사팀은 캐나다에서 액상대마 약 1kg을 수입한 국내 수거책 1명과 말레이시아에서 필로폰 약 138g을 들여온 국내 밀수・유통 총책 등 2명도 구속기소했다.
중앙지검 관계자는 "마약류범죄는 '총책'이 수사기관의 추적을 따돌리기 위해 일회성으로 고용한 '드랍퍼'를 전면에 내세워 마약류 수거를 시도한다"며 "수거책을 검거하더라도 익명화된 마약 밀수·유통 조직의 상선 추적이 매우 어려워, 드랍퍼만 교체 후 범행이 계속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에 수사팀은 수거책을 검거한 직후, 압수물 분석 및 핵심진술 확보를 통해 통제 배달 개시 24시간 안에 총책과 드랍퍼, 유통책 등 전원을 검거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검찰은 "대포폰·대포통장 사용, 텔레그램을 통한 범행지시·실행, 해외 마약류의 제3의 장소 배송 등 범행수법 고도화 등으로 마약류 유통망의 가장 하단에 있는 매수·투약자, 대포통장 등 범행도구 공급책도 추적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앙지검은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해외 마약류의 국내 유입과 국내 유통을 적극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마약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생활 안전을 지켜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