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종건 방사청장, EU 및 NATO 본부 방문 방산협력 협의
EU 국방‧우주집행위원 회동 …"韓과 방산 협력 강화"
NATO 사무차장 만나 인도·태평양 협력의 확대 논의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23일(현지시각)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를 방문해 안드리우스 쿠빌리우스 EU 국방·우주 집행위원, 라드밀라 셰케린스카 NATO 사무차장 등을 만나 한국-유럽 방산협력관련 고위급 협의를 진행했다.
석종건 방사청장의 이번 방문은 지난달 19일 EU가 발표한 EU 국방백서 '대비태세 2030'에 따라 유럽 역내 국방력 증강 및 방위산업 역량 확충을 계획하고 있는 유럽국가들과의 글로벌 방산 협력 파트너 관계를 강화해 나가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졌다.
![]() |
석종건 방사청장이 지난 23일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연합(EU) 본부에서 안드리우스 쿠빌리우스 EU 국방·우주 집행위원을 면담하고 있다. [사진=방위사업청] 2025.04.24 gomsi@newspim.com |
특히, 방위사업청장이 EU 본부 고위급 인사를 직접 면담한 것은 방사청 개청 이후 처음이다. 이는 K-방산의 유럽 내 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방사청은 그간 공고히 다져온 유럽국가들과의 양자 협력을 기반으로 유럽 안보방위의 중심 다자기구인 EU, NATO와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방산 공급망 파트너십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날 석종건 방사청장은 안드리우스 쿠빌리우스(Andrius Kubilius) EU 국방·우주 집행위원을 만나 유럽재무장계획을 청취하고 그 필요성에 적극적으로 공감했다. 지난 70여 년간 북한의 군사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끊임없이 발전시켜온 대한민국의 국방력이 EU 회원국과의 긴밀한 협력하에 유럽의 시급한 안보에 기여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 |
석종건 방사청장이 지난 2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라드밀라 셰케린스카 NATO 사무차장을 만나고 있다. [사진=방위사업청] 2025.04.24 gomsi@newspim.com |
이와 함께 한국과 EU는 우주, 인공지능, 양자 등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기술 분야에서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해 세계 첨단기술을 이끌어가는 협력관계로 발전시켜나가자고 제안했다. 이번 방사청장의 EU 방문이 작년 11월 한-EU 안보방위파트너십 체결 이후, 기존의 안보 파트너십을 상호 보완적인 방산 공급망 파트너로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석 방사청장은 라드밀라 셰케린스카(Radmila Shekerinska) NATO 사무차장을 만나 유럽 역내 국가 간 결속을 통한 억지력 확보 못지않게 NATO IP4(Indo-Pacific Partners,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파트너 국가인 한국이 동참한 인도 태평양-유럽 대서양의 통합 억지력 전략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경험하면서 한국과 NATO 간 무기체계 및 장비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고, NATO 사무차장은 한국이 NATO의 우크라이나 포괄적 지원 신탁기금을 통한 인도적 지원 등 우크라이나 지원에 사의를 표명했다. 아울러 최첨단 무기체계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협력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했다. 방위사업청은 NATO와 방산 공급망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한-NATO 방산 협의체 개설 및 연내 개최를 제안했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러북 군사협력 심화 등으로 인도 태평양 지역과 유럽과의 안보 연계성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 "한국은 지속해서 EU, NATO와 상호 보완적인 방산 공급망 협력을 발전시켜나가야 한다"며 "K-방산에 위기로 인식된 유럽 재무장계획을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유럽 개발국뿐만 아니라 EU, NATO 등 다자 간 협력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oms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