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신·이중섭·장욱진 등 한국 근현대미술 대표 작가 70명의 작품 145점 전시
이건희컬렉션 42점 등 국립현대미술관 주요 소장품 공개
[과천=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MMCA) 과천관이 한국 근현대미술 100년사를 조명하는 대규모 소장품 상설전을 개최한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은 30일 경기 과천시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열린 'MMCA 과천 상설전-한국근현대미술 I' 언론 간담회에서 "연초부터 많은 관심을 가져주셨던 상설전을 소개하게 됐다"고 말했다.
1972년 국립현대미술관의 첫 기획전 '한국근대미술 60년 전' 이후 53년 만에 한국 근현대미술 100년사를 집중 조망하는 이번 상설전시는 1, 2부로 나뉘어 개최된다. 먼저 개막하는 '한국근현대미술 I'는 대한제국과 개화기를 거쳐 한국전쟁까지 격동하는 역사의 흐름 속 태동한 한국 근현대미술을 작가 70명의 작품 145점을 통해 짚어본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 전시 전경.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5.04.30 alice09@newspim.com |
이날 김성희 관장은 "국현은 1969년 소장품 없는 미술관으로 역사가 시작됐다. 지속적인 소장품 확보 노력과 이건희 회장의 기증으로 인해 이제 1만1800여점을 소장하게 됐다. 한국근현대미술 100년의 역사와 한국현대미술의 역사를 소장품만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 뜻 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천 상설전은 한국근현대미술 100년의 역사를 1, 2부로 나누어 개최한다. 1부에서는 채용신, 오지호 박래현, 김기창, 이응노, 이중섭 등 70명의 작품 145점을 소개한다. 이건희컬렉션도 42점 대거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김 관장은 "이 전시가 국내외 관객들에게 한국 정체성과 가치를 전달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에서 전시된 이응노의 '재건현장'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5.04.30 alice09@newspim.com |
전시는 3개의 '작가의 방'을 포함해 대한제국부터 한국전쟁까지의 시기를 '새로운 시선의 등장', '근대 서화의 모색', '미술/미술가 개념의 등장', '조선의 삶을 그리다', '한국전쟁과 조형실험', '가족을 그리며'라는 9개의 소주제로 구성했다.
김인혜 학예연구 실장은 "1969년 소장품 0점으로 시작해 작년 기준 1만1800여점으로 늘어났고, 그중에서는 이건희 컬렉션 기증이 가장 컸다. 이건희 컬렉션이 기증된 후 10개 지역미술관에 순회 전시를 했고, 당시 74만명이 관람을 했다. 이후 이건희 컬렉션이 국립현대미술관에 안착해 열리는 첫 상설전"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과천관이 메인 공간이다. 1200평 정도의 공간에 한국 20세기 역사를 파노라마처럼 펼쳐냈다. 오늘 여는 전시는 그 중에 일부이다. 1부는 190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이다. 2부는 6월 26일 오픈을 한다. 과천관과 서울관의 전시를 다하면 20세기 전체가 아우러지는 전시가 될 것"이라며 "전시는 서울관을 포함해 1만1800점 중 총 350여 점이 전시된다"고 덧붙였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에서 전시된 이중섭의 '황소'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5.04.30 alice09@newspim.com |
작가의 방은 1년 단위로 교체되는 특정 작가 집중 조명 공간인 만큼 그 시작을 오지호, 박래현과 김기창, 이중섭 4인으로 소개한다. 김 학예연구실장은 '작가의 방'에 대해 "지루하지 않게 전시를 보면서도, 다 보고 나서 어떤 시대의 흐름 또는 특정 작가에 대해서는 인상 깊게 볼 수 있는 구성"이라고 말했다.
본 전시 1부 '새로운 시선의 등장: 광학과 카메라, 근대적 지식체계와 미술'에서는 조선 후기 영선사, 관비 유학 등의 제도로 유입된 현미경, 망원경, 카메라와 같은 신문물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시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관찰하며 제작한 작품을 소개한다.
이곳에서는 김은호의 '순종황제 인물상'과 채용신의 '허유, 유인명 초상' 등을 통해 조선 중기 인물화와 다른 세밀하고 사실적인 얼굴 표현을 발견할 수 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에서 전시된 채용신의 '허유, 유인명 초상'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5.04.30 alice09@newspim.com |
2부 '근대 서화의 모색'에서는 전통 서화의 변모를 살펴본다. 중국으로 파견된 영선사의 일행이었던 안중식과 조석진은 시대의 변화와 신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근대 서화의 환경을 변화시켰다. 안중식의 '산수', 조석진의 '사계산수'를 비롯해 김규진의 '해금강총석', 변월룡의 '북조선 금강산(만물상)' 등 근대서화가의 작품이 전시된다.
이수정 학예연구사는 "굉장히 오래 된 작품이지만, 이걸 보면 당시 작가님들의 나이나 그들의 고민들이 지금의 젊은 작가들의 색채에 해당할 만큼 젊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안중식 선생과 조석진 선생의 작품을 보시면 섬세하고 입체적인 부분을 잘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3부 '미술/미술가 개념의 등장'에서는 20세기 초 서양화가들을 살펴본다. 일본 유학을 통해 유화와 서양 미술사조를 접한 나혜석, 도상봉 등 1세대 서양화가들의 유화 작품과 더불어 이해선의 '누드', 나상윤의 '누드'와 같이 나체의 인물을 그린 회화가 소개된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상설전 '한국근현대미술 I' 전시 전경. [사진-국립현대미술관] 2025.04.30 alice09@newspim.com |
'조선의 삶을 그리다'의 5부는 1930-1940년대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자주 다루어졌던 소재인 초가집, 장독대, 아이를 업은 여자, 기생 등의 모습을 담은 작품들이 소개된다. 7부 '폐허 위에서: 한국전쟁과 조형실험'에서는 한국전쟁(1950~1953)과 그 직후의 작품을 소개한다.
8부 '폐허 위에서: 가족을 그리며'에서는 식민 지배와 전쟁, 분단 등의 역사적 아픔 속에서 치유의 원동력으로 작동한 '가족'을 주제로 한다. 그리고 4부와 6부, 마지막 9부는 작가의 방으로 꾸며진다.
이 학예연구사는 "한국전쟁 당시에는 작품이 많이 제작되지도 못했고, 있었던 작품들도 많이 유실돼 작품이 많지는 않다. 전쟁 시기 이후에 대한 그림이 많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수정 학예연구사는 "전시는 소장품을 관객이 더 가까이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한국근현대미술을 언제든,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것 또한 특징"이라며 "또한 많은 분들이 작품을 보시고 이야기 나누시고, 공부도 하실 수 있는 전시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국 근현대미술 100년사를 조명하는 과천관 대규모 소장품 상설전인 '한국근현대미술 I'는 오는 5월 1일부터 국립현대미수관 5, 6전시실에서 개최된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