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콘텐츠·광고 고도화…검색·커머스 성과 견인
쇼핑앱 출시·네이버페이 외연 확대 등 신사업도 순항
"광고시장 약세 속에서도 기술 투자로 장기 성장 도모"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가 올해 AI 기반 기술 고도화와 쇼핑·광고·콘텐츠 전반의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간다.
9일,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날 열린 2025년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AI 시대에서도 네이버는 자사만의 콘텐츠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은 물론, 콘텐츠 발견·탐색에서 쇼핑·플레이스로 연결되는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며 "AI 브리핑을 비롯한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통해 이용자 패턴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
사진은 지난해 11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통합 콘퍼런스 '단 24' 현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발표 중이다. [사진=네이버] |
◆ AI 접목한 검색·광고 고도화…플랫폼 경쟁력 강화
1분기 서치플랫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했다. 검색 광고도 8.2% 늘었다. 최 대표는 "콘텐츠 발견과 탐색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연내 네이버 앱과 통합 검색을 개편하고, 개인화 기술을 활용해 검색 결과와 UI를 맞춤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광고 부문에서는 AI 기반 광고 기술 플랫폼 '애드부스트'를 통해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지원하고 있으며, 모바일 홈피드 지면 최적화를 통해 커머스 광고의 성장을 견인했다. 네이버는 향후 검색·디스플레이·커머스 광고의 경계를 허물며 광고 효율을 높이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1분기 네이버 전체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했다.
◆ 커머스 앱·멤버십 확대…쇼핑 생태계 확장
네이버는 지난 3월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을 출시하며 커머스 경쟁력을 강화했다. 해당 앱은 스마트스토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 기능을 고도화했으며, 멤버십 이용자의 활동성이 웹 대비 2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온플랫폼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성장했다.
배송 측면에서는 'N배송'으로 브랜드를 개편하고, 당일 배송 확대 및 멤버십 무료 배송·반품 혜택을 강화했다. 또한 하반기에는 신선식품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컬리와의 제휴를 통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커머스 광고는 AI 기반 추천 시스템과 지면 최적화의 시너지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 콘텐츠·핀테크·B2B 사업 다각화 성과
콘텐츠 측면에서는 블로그·클립 중심의 UGC 확대가 주효했다. 클립은 일평균 체류 시간이 서비스 초기 대비 1.8배 증가했으며, 상위 창작자의 경우 월 수익이 2천만 원에 달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클립 콘텐츠는 플레이스 리뷰 등과 연계돼 플랫폼 내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핀테크 부문에서는 네이버페이 결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한 19.6조 원을 기록했으며, 외부 생태계 확장도 이어지고 있다. 네이버는 케이뱅크와의 대출 비교 서비스 연동, 주식 거래 기능 개선 등을 통해 금융 서비스 강화에 나서고 있다.
엔터프라이즈 부문은 라인웍스 유료 전환 확대와 AI 기능 결합을 통해 성장세를 보였다. 네이버는 한국수력원자력·한국은행과 AI 기반 B2B 계약을 체결하며 금융특화 AI 사업의 교두보도 마련했다.
◆ AI 기반 서비스로 시장 성장 상회 목표
최수연 대표는 "광고와 커머스 시장의 전반적인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AI 기반 플랫폼 경쟁력과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시장 평균 이상의 성장을 목표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쇼핑·콘텐츠·핀테크 등 각 서비스에서의 AI 적용을 확장하고, 네이버만의 고유한 생태계를 바탕으로 이용자와 광고주, 창작자 모두와의 상생 구조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