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영(KIA), 긴 익스텐션과 함께 단단한 배짱
박영현(kt), 직구 구위와 무너지지 않는 체력
김원중(롯데), 높은 릴리스 포인트와 예리한 스플리터
김서현(한화), 빠른 직구와 한 차례도 없는 블론세이브
[서울=뉴스핌] 남정훈 인턴기자 = 프로야구 정규시즌이 약 100경기 가까이 남은 상황에서 팀 순위 싸움만큼이나 눈에 띄는 것이 구원왕 타이틀을 향한 마무리 투수들의 경쟁이다.
지난해에는 정해영(KIA, 31개), 오승환(삼성, 27개), 유영찬(LG, 26개), 박영현(kt, 25개), 김원중(롯데, 25개)이 구원왕 자리를 두고 각축을 벌였다. 그러나 올 시즌은 오승환의 부진과 유영찬의 부상 공백 속에 새로운 얼굴 김서현(한화)이 치고 올라오며 판도가 바뀌었다.
![]() |
[서울=뉴스핌] KIA의 마무리 투수 정해영이 17일 광주 두산과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구단 통산 최다 세이브 기록을 작성해 꽃다발을 받고 있다. [사진 = KIA] 2025.05.17 wcn05002@newspim.com |
19일 기준, 정해영, 박영현, 김원중, 김서현은 나란히 13세이브를 기록하며 공동 1위에 올라 있다. NC의 류진욱(9세이브)이 그 뒤를 추격하고 있지만, 상위권 네 명의 존재감은 단연 돋보인다.
지난 시즌 구원왕에 오른 정해영은 KIA의 '끝판왕'이다. 2021년부터 4년 연속 20세이브 이상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그는 투수판에서 공을 놓는 지점까지 앞으로 끌고 나가는 익스텐션이 무려 2m에서 최장 220cm에 달한다. 긴 익스텐션이 타자들이 느끼는 구속을 더욱 빠르게 만든다.
시속 130km대의 슬라이더와 스플리터를 자유자재로 운영하는 동시에 스트라이크 존에 공을 넣는 배짱이 좋다. 피해 다니는 피칭이 아닌 공격적인 피칭을 선호하기에 볼넷으로 무너지는 경우가 적다. 실제로 올 시즌 그는 21.2이닝 동안 단 7개의 볼넷을 허용했다.
정해영은 지난 17일 광주 두산과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올 시즌 12번째 세이브를 올리며 개인 통산 133세이브로 타이거즈의 레전드인 선동열 전 야구대표팀 감독의 기록을 넘어서 구단 통산 최다 세이브 기록도 작성했다.
kt 위즈의 마무리 투수 박영현은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셋업맨으로 시작한 그는 75.1이닝 32홀드 평균자책점 2.75로 리그 최정상급 불펜으로 성장했다. 기존 마무리 투수인 김재윤이 삼성으로 떠난 2024시즌부터 그는 본격적으로 팀의 마지막을 책임졌다.
![]() |
[서울=뉴스핌] kt의 불펜 투수 박영현 11일 삼성전 세이브를 거둔 뒤 세리머니 하고 있다. [사진 = kt] 2025.04.11 photo@newspim.com |
박영현은 포심 패스트볼에 강점이 있는 투수다. 시속 150km를 넘나드는 속도와 2500RPM(분당 회전수)에 달하는 위력적인 구위에 타자들은 정타를 이끌어내기 힘겨워한다. 결정구로 시속 130km의 체인지업도 보유하고 있어 타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체력이 강점이다. 박영현은 소속 팀에서 멀티 이닝과 연투도 자주 소화한다. 그는 이번 시즌도 24.2이닝으로 경쟁자들보다 약 3이닝을 더 던졌다.
롯데의 마무리 투수 김원중은 2020년부터 무려 6년간 뒷문을 지키고 있다. 통산 145세이브를 달성할 정도의 실력을 갖춘 그는 2021시즌에는 35세이브로 단일 시즌 개인 최다 세이브 기록을 세우며 이 부문 2위에 이름을 올렸다.
김원중의 가장 큰 장점은 192cm의 큰 키를 활용한 높은 릴리스 포인트에서 내리꽂는 투구다. 또 시속 147km의 포심 패스트볼(47.5%)과 시속 135km의 낙차 큰 스플리터(45.8%)를 거의 같은 비율로 활용해 타자들의 예측을 어렵게 한다.
![]() |
[서울=뉴스핌] 롯데 마무리 투수 김원중이 18일 부산 삼성과의 경기에서 9회에 등판해 역투하고 있다. [사진 = 롯데] 2025.05.18 wcn05002@newspim.com |
김원중은 지난 4월 3일~4월 24일까지 7경기 연속 세이브를 질주하며 빠르게 구원왕 경쟁에 합류했다. 10일 수원 kt와의 경기에서 올 시즌 10세이브를 돌파한 그는 KBO리그 역대 5번째로 6시즌 연속 두 자릿수 세이브를 달성한 주인공이 됐다.
한화의 미래로 평가받는 김서현은 이번 시즌 초반 기존 마무리 투수인 주현상의 급격한 컨디션 난조를 틈타 마무리 자리를 꿰찼다.
김서현은 최고 구속 161km의 포심 패스트볼과 함께 시속 140km 초반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더로 타자들을 요리한다. 지난 시즌 멘털이 좋지 않아 볼넷을 남발했지만, 절치부심한 이번 시즌은 주자가 루상에 진출해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 |
[서울=뉴스핌] 5일 대전 삼성과의 경기에서 9회 마무리 투수로 등판한 김서현(한화)이 세이브를 거둔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한화] 2025.05.05 wcn05002@newspim.com |
김서현은 WHIP(이닝당 출루허용률) 0.93, 24경기 평균자책점 0.79로 단 2자책점만을 내줘 리그 최고 수준의 성적을 유지 중이며, 블론세이브가 단 한 차례도 없는 점도 눈에 띈다. 고작 1년 만에 리그 특급 마무리로 변신하게 된 것이다.
시즌 초반 강력한 경쟁자로 예상됐던 김택연(두산)과 김재윤(삼성)이 일찌감치 레이스에서 밀려나며, 구원왕 경쟁은 이들 네 명이 시즌 막판까지 치열하게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wcn050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