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지수 올 들어 6번째 사상 최고 경신
ADP 민간고용 감소로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고조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뉴욕증시는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과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을 전한 덕분에 기술주 주도로 상승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뉴욕 증권 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52포인트(0.02%) 내린 4만 4484.42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9.41포인트(0.47%) 상승한 6227.42에 거래를 마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S&P500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올 들어 6번 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90.24포인트(0.94%) 오른 2만393.13에 거래를 마쳐 역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을 통해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자 국가 주석인 또 럼과의 대화 후 방금 무역 협정을 이루었음을 발표하게 되어 큰 영광"이라면서 새 무역 협정 타결 소식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에 따라 수입되는 모든 베트남산 상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제3국을 경유한 환적 상품에 대해서는 4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와의 무역 합의도 곧 발표될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다른 국가들과의 합의는 7월 9일까지 준비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개장 전 발표된 미국 ADP 민간고용 보고서는 미국 경제 둔화 우려를 키우며 장 초반 증시를 짓눌렀다.
ADP에 따르면 6월 고용은 3만3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9만5000명 증가를 예상한 시장 전망을 뒤엎는 결과다. 5월 고용도 당초 발표됐던 3만7000명 증가에서 2만9000명 증가로 하향 조정됐다. ADP 민간 고용이 감소한 건 지난 2023년 3월 이후 처음이다.
다만 투자자들이 오히려 이 같은 약한 고용지표가 연준의 금리 인하를 앞당길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데 무게를 두면서 증시는 다시 위를 향했다.
노스라이트 자산운용의 크리스 자카렐리는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고 기다릴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고용 시장이 견조했기 때문인데, 만약 이 상황이 바뀐다면 연준은 원치 않는 시점에 조기 행동을 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ADP 보고서 발표 이후, 연준이 금리 인하 시점을 앞당길 것이라는 기대감은 다소 확대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7월 금리 인하 확률은 전날 20%에서 24.3%로 상승했다.
이제 투자자들은 목요일 발표될 비농업 고용지표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준이 언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단서를 얻으려 하고 있다. 로이터가 실시한 경제학자 설문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미국의 6월 고용 증가세가 둔화되고 실업률은 4.3%로 소폭 상승했음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LPL 파이낸셜의 제프 로치는 "ADP 보고서는 목요일 발표될 비농업 고용 데이터에서 하방 서프라이즈(예상보다 약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을 높였다"며 "만약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약하다면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채권 수익률 하락을 촉진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나는 컨센서스보다 약한 수치를 예상하며, 그럴 경우 연준의 올해 3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상원을 통과한 뒤 최종 승인을 위해 미국 하원으로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세금 및 지출 법안도 관심이다. 비당파적 분석가들에 따르면 이 법안은 향후 10년간 국가 부채를 3.4조 달러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징주로는 테슬라가 판매 부진이 예상보다 덜하다는 안도감 속에 4.97% 반등했다. 테슬라는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 간 설전이 이어지며 전날엔 회사 주가가 5% 넘게 하락한 상태였다.
베트남과의 무역 합의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친 공급망 붕괴 가능성이 피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속에 의류 및 신발 기업들이 오르면서 나이키는 4.06% 상승했다.
애플은 제프리스가 투자 의견을 '시장수익률 하회'에서 '보유'로 상향 조정한 영향에 2.22% 올랐다.
반면 마벨 테크놀로지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인공지능(AI) 칩 개발 계획을 축소한다는 보도에 2.61% 하락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