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1949년 신중국 설립 초기 베이징 인근에는 변변한 트랙터 공장 하나 없었다. 반세기 남짓 되는 시간 자동차 후발국 중국은 전통 내연기관 차를 뛰어넘어 세계가 놀라는 신에너지 전기차 강국으로 도약했다. 마치 영화를 보는 도중 어느새 컬러 전환이 이뤄지듯 부지불식간에 중국은 첨단 기술이 융합한 전기차의 나라로 변신했다.
수도 베이징 심장부 천안문 앞 장안로를 달리는 자동차 열대중 다섯대는 녹색 간판을 부착한 신에너지 차량이다. '5분 충전 370킬로미터, 판매가 4800만원 '. 2025년 5월 기자가 베이징 현지에서 목도한 비야디 전기차는 한마디로 기술과 가성비 모두 매직이었다. 올해초 한국에 상륙한 비야디(BYD)를 시작으로 중국 전기차가 멀지않아 우리 자동차 시장 판도를 뒤흔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중국이 전기차 세계 최강국으로 도약한데는 어떤 비결이 숨어있는 걸까. 중국 기술굴기의 현장에서 발로 뛰는 국내 매체 현직 특파원 9명이 출간한 번역서 '중국 전기차가 온다(원제: 레인을 바꿔 경주하다)'는 중국 전기차 굴기에 감춰진 놀라운 마법을 속시원하게 풀어주는 책이다.
새 책 '중국 전기차가 온다(글항아리)'는 중국의 초기 전기차 전략과 신기술 경쟁에 대한 중국 지도자들의 시각, 정부 주도의 과감한 투자 집행 사례를 풍부하게 담고 있다. '자전거의 나라, 자동차 불모국' 중국이 짧은 시간에 어떻게 전통적 자동차 강국들을 따돌리고 세계적인 전기차 강국으로 부상했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책이다.
원제 '레인을 바꿔 경주하다'의 저자 먀오웨이는 중국 자동차 산업의 산증인으로 불린다. 마오웨이는 2010년부터 10년간 공업정보화부 장관을 역임하며 신에너지차 정책을 최일선에서 진두지휘한 인물이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최근 새로 출판된 책 '중국 전기차가 온다' 표지. 2025.07.10 chk@newspim.com |
먀오웨이는 중국 자동차 산업 정책에 대해 "신에너지차라는 새로운 트랙을 미래 전략 분야로 확정하고 지원 육성에 전력했다"며 "추월하기 위해서는 과감히 차선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13년 무렵 중국에는 '정부 주도의 신에너지차 육성을 계속할 것인가 아니면 시장에 맡길 것인가'를 놓고 논란이 불거졌다. 이해집단간의 충돌과 소모적인 논쟁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말 한마디에 깨끗이 정리됐다.
2014년 상하이자동차를 찾은 시진핑 주석은 "신에너지차 발전은 중국 자동차가 단순 대국에서 강국으로 변신하는데 반드시 거쳐야 하는 길이다"라고 선언했다. 이후 중국은 정부 보조금을 앞세운 신에너지차 사업에 엑셀러레이터를 밟기 시작했다.
'레인을 바꿔 경주하다'는 책의 원제가 보여주듯, 저자는 중국이 기존 내연기관차 중심의 차로에서 벗어나 신에너지차라는 새로운 레인으로 전략적 선택을 한 결과가 오늘날 중국 전기차의 대질주로 이어졌다고 분석한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비야디 베이징 매장에 전시된 '5분 충전 370킬로미터 주행' 가능한 전기차. 뉴스핌 촬영. 2025.07.10 chk@newspim.com |
과감히 '레인을 바꾸는' 중국의 신에너지 미래 자동차 전략은 여전히 새로운 선택을 주저하는 가운데 내연기관 비중이 절대적인 우리 자동차 산업 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않다.
현장 리포트와 같은 '중국 전기차가 온다' 번역 출판엔 강정규(YTN), 김광수(서울경제신문), 김민정(KBS), 배인선(아주경제), 이도성(중앙일보·JTBC), 이벌찬(조선일보), 이윤정(조선비즈), 정성조(연합뉴스), 정은지(뉴스1) 모두 아홉명의 베이징특파원들이 참여했다.
번역 출판에 참여한 현역 특파원 9명중 한명인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는 "정부 주도의 이런 첨단 기술 산업 육성 전략은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다른 신기술 분야에도 그대로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배인선 특파원은 "원서를 보면서 중국이 각 첨단 기술 분야에서 지금 또 다른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소개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새 책 '중국 전기차가 온다' 번역에 참여한 베이징특파원들. 2025.07.10 chk@newspim.com |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