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자금 유입·기관 매수세가 랠리 견인...하버드대 비트코인ETF 보유 소식
선물시장 '갭' 주목…단기 조정 가능성도
CPI·PPI·소매판매, 랠리의 변곡점 될 듯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비트코인 가격이 11일 사상 최고가를 다시 쓰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시총 2위인 이더리움도 4년여 만에 신고가를 갈아치우며 암호화폐 강세장에 대한 기대를 키우고 있다.
한국 시간으로 오후 8시 기준 국내 가상화페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에 비해 1.03% 오른 1억6,554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앞서 비트코인 가격은 1억6,688만원까지 오르며 28일만에 신고가를 기록했다.
달러 시세로도 고점에 근접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앞서 12만2247달러로, 7월 14일의 사상 최고가(12만3,091달러)에 근접했다. 현재는 12만905달러 선으로 오름폭을 소폭 반납했다.
![]() |
비트코인 차트, 자료=야후 파이낸스, 2025.08.11 koinwon@newspim.com |
◆ ETF 자금 유입·기관 매수세가 랠리 견인...하버드대 비트코인ETF 보유 소식에 '투심 강화'
전문가들은 미국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로의 대규모 자금 유입과 기관투자 심리 회복이 랠리를 뒷받침했다고 분석한다. 지난 8일 하루 동안 미국 현물 ETF에는 약 4억367만달러(약 5,617억원)가 순유입됐다. 이는 최근 들어 최대 규모의 일일 자금 유입이다.
여기에 하버드대가 상당한 규모의 비트코인 ETF를 보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 심리가 강화됐다. 하버드대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2025년 2분기(6월 30일 기준) 분기 보고서(Form 13-F)를 통해, 블랙록의 '아이셰어스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 지분 약 1억6,116억 원(1억1,600만 달러)을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이는 약 190만 주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대학기관 투자자 중에서도 손꼽히는 규모다.
금리 인하 기대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기대감 등 국제 정세 안정도 위험자산 선호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도 이날 전일 대비 1.13% 오른 591만원에 거래되며 600만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글로벌 시세는 4,336달러까지 올랐으며, 현재는 전일 대비 1.17% 오른 4,227달러선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한 달간 기관의 이더리움 매수 규모는 75억달러(약 10조3,700억원)로, 4개월 전 대비 50배 이상 급증했다.
어거스틴 판 시그널플러스 인사이트 총괄은 "ETH의 장기 기대치가 급격히 높아졌으며, 사상 최고치 재돌파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선물시장 '갭' 주목…단기 조정 가능성도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비트코인 선물 가격은 주말 이후 현물 가격과의 차이, 즉 '갭'을 남긴 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게 형성되는 이런 상황은 일반적으로 향후 추가 상승 기대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이 갭이 앞으로 메워질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와 같은 강한 상승 흐름이 계속되면, 정상적인 가격 조정 없이 선물과 현물 간 괴리가 더 벌어지는 '도주 갭(runaway gap)'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도주 갭은 상승장 후반부에 나타나며, 단기 과열 신호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프리덤캐피털마켓츠의 제이 우즈 전략가는 특히 8월 시장의 변동성을 경계했다. 그는 "8월은 역사적으로 시장을 놀라게 하는 돌발 변수가 자주 나타나는 시기"라며, 갑작스러운 악재성 뉴스가 터질 경우 현재의 가파른 상승세가 단기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 CPI·PPI·소매판매, 랠리의 변곡점 될 듯
이번 주 발표되는 미국 주요 경제지표가 미 증시를 비롯한 위험 자산군의 랠리 지속 여부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12일(현지시간) 발표되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이 예상되며, 6월(2.7%)보다 소폭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3.0%로 6월(2.9%) 대비 상승이 전망된다. 이어 14일 발표될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이 예상된다(6월 2.3%).
모간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전략가는 "부진한 고용지표와 관세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결합되며 계절적으로 약한 3분기에 주가 조정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결국 이번 주 예정된 미국 경제지표 결과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신고가 랠리를 이어갈지, 아니면 단기 조정의 불씨가 될지를 가를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