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14일 6월 ICT 수출입 동향 발표
상반기 수출 전년 대비 5.8% 증가세
6월 반도체 수출 월별 기준 사상 최대 실적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올해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역대 2위를 기록하며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달에는 월별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및 6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상반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1151억6000만달러로 역대 상반기 중 2위를 기록했다. 주요 품목 무관세 적용과 AI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709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고, 무역수지는 442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 |
ICT 수출은 지난 2월부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11.4% 증가한 733억1000만달러로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이는 D램과 낸드플래시 고정가격 반등과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수출 호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반도체는 역대 상반기 중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휴대폰은 주력 모델 판매 호조와 카메라 모듈 등 부품 선전으로 9.1% 증가한 60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AI 서버 확산으로 데이터센터용 SSD 수요가 증가하며 10.8% 성장한 66억4000만달러를 나타냈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87억달러로 13.9% 감소했다. 글로벌 소비 여건 악화와 전방산업 물량 조절의 영향, 전년도 기저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통신장비도 글로벌 장비 시장 정체 지속과 단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베트남 해외 생산 확대(약 80%) 등으로 2.5% 감소한 11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지역별 수출은 대만(154억2000만달러, 89.6%↑), 미국(144억2000만달러, 14.5%↑), 베트남(190억6000만달러, 10.0%↑), 인도(28억4000만달러, 9.3%↑), 일본(19억5000만달러, 5.7%↑) 등에서 증가세를 보인 반면, 중국(홍콩 포함)은 419억8000만달러로 11.5% 감소했다.
상반기 ICT 수입은 공급망 다변화와 대중 의존도 축소로 중국산 수입은 7.8% 감소한 반면, 대만(12.6%↑), 베트남(15.5%↑) 등 대체 공급처 수입은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AI 인프라 확대를 위한 그래픽카드(3억2000만달러, 23.9%↑), 중대형컴퓨터(17억4000만달러, 36.9%↑) 수입이 크게 늘었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한 220억3000만달러로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는 149억8000만달러로 월별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2개월 연속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컴퓨터·주변기기는 글로벌 AI 인프라 확충으로 SSD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며 12.7% 증가한 14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전방기업 물량 조절로 33.7% 감소한 12억9000만달러에 그쳤다.
같은달 수입은 124억1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4.0%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휴대폰(36.6%↑), 반도체(22.8%↑), 디스플레이(4.3%↑)가 증가한 반면, 컴퓨터·주변기기(10.8%↓), 통신장비(22.1%↓)는 감소했다. AI 수요 확산에 따라 그래픽카드(5000만달러, 83.5%↑), 시스템반도체(36억8000만달러, 32.9%↑), SSD(2억4000만달러, 55.3%↑) 등 고성능 부품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