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세계 유산으로 확정
조선시대 대표 화가들이 남긴 걸작들 많아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백두산과 함께 한반도 대표 명산으로 꼽히는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독특한 지형과 경관, 불교의 역사와 전통 등이 얽혀 있는 금강산이 문화적 경관으로서 가치가 크다면서 세계유산으로 확정했다. 북한이 등재 신청서를 낸 지 4년 만이다.
사계절마다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뛰어난 풍광으로 잘 알려진 금강산은 예로부터 그림과 문학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등장했다. 특히 조선의 대표적인 화가 겸재 정선과 김홍도는 빼어난 금강산 그림을 남겼다. 겸재(謙齋) 정선(1676~1759)은 아름다운 금수강산에 태어난 것을 무한한 행복으로 여겼던 화가였다.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 2025.07.14 oks34@newspim.com |
정선의 풍경화 중에는 천하 명승 금강산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았다. '금강산전도', '구룡폭포', '만폭동', '옹천' 등을 비롯한 작품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 작품들을 그릴 때 그는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천하 만방에 알리고 싶은 열망에서 한 획 한 획에 심혈을 기울였다고 전해진다.
정선은 36세에 처음 금강산의 모습을 접했다. 그것을 화폭에 담아내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법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창안하였다. 이 화법은 현실감 넘치는 화풍으로 우리나라 산천의 특징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법이다. 조선 시대 문인 화가 강세황(1713~1791)은 "여러 화목 중 산수화가 어렵고, 그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진경을 그리는 일이 가장 어렵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단원 김홍도의 '금강사군첩' 2025.07.14 oks34@newspim.com |
정선의 또 다른 그림 '금강전도'(국보)는 마치 위에서 내려다본 것처럼 그려진 전도(全圖) 형식의 그림이다. 조선의 화가들이 금강산을 그릴 때 가장 선호했던 방식이었다. 금강산을 가본 사람은 추억을 회고할 수 있고, 가보지 못한 사람은 그림을 감상하며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었다. 이 그림은 겸재가 70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한다.
김홍도(1745~1806)는 1788년에 정조의 명을 받고 관동 지역과 금강산을 50일간 여행하며 '해동명산도첩'을 남겼다. 금강산을 사랑하던 정조가 자신이 좋아하는 화가에게 금강산을 그리도록 배려한 것이다. 도화서 화원으로 활약한 김응환(1742~1789)이 김홍도와 함께 금강산 등을 유람하고 제작한 '해악전도첩'에도 빼어난 금강산 그림이 담겨 있다.
한편 정선의 금강산 그림 중 하나인 '옹천'에 얽힌 일화도 감동적이다. 정선이 해금강의 총석정(叢石亭)을 보려고 강원도 북부의 통천(通川)을 향했다. 통천으로 질러가기 위해서는 독처럼 생겼다 하여 옹천(瓮遷)이라 불리는 큰 바위의 등 허리를 반드시 지나가야만 했다. 옹천길을 택한 정선에게 고성 사람들은 그 길이 매우 위험하니 조심하라고 신신당부했다.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단원 김홍도가 그린 비룡폭포. 2025.07.14 oks34@newspim.com |
옹천을 지나던 정선은 그 중간 벼랑길에서 한 노인을 만났다. 노인은 고려 말엽 왜구들이 들끓던 시절, 이곳에 매복해 있던 군사들에게 전멸당한 일화를 들려줬다. 이 이야기를 들은 정선은 날씨가 사나워질 때를 기다려 파도가 일렁이는 옹천의 모습을 화폭에 담았다.
분단의 시간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앗아갔지만 많은 예술가들로부터 최고의 소재 중 하나인 금강산도 빼앗아 간 셈이다. 세계유산 등재와 더불어 그 빼어난 금강의 사계절을 자주 볼 수 있는 날이 올까.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