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 싱크탱크 "당국 승인 없이도 中 기업이 印 기업 지분 24%까지 갖게 해야"
中 관영 매체 "印 싱크탱크 제안, 환영할 만한 진전"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 내부에서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기업의 확실한 기술 이전이 수반되어야만 투자가 허용될 것이라는 소식통 발언이 전해졌다.
21일(현지 시간) 머니컨트롤에 따르면, 인도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코노믹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인도 기업은 기술 학습이 필요하다"며 "기술 이전 없이 단순히 조립 라인만 추가하는 투자 제안은 지원받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글로벌 부품 공급업체의 상당수가 중국 기업이라며, 이들 기업의 지원 없이는 인도 전자 생태계가 발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고 머니컨트롤은 덧붙였다.
앞서 인도 정부 산하 공공정책 싱크탱크 국가개혁위원회(NITI Aayog, 니티 아요그)는 중국 기업이 당국의 승인 절차 없이 인도 기업 지분을 최대 24%까지 인수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인도 정부에 제안했다. 투자 절차를 완화함으로써 인도의 공급망 참여 및 수출을 촉진하고,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취지다.
전자정보통신부 또한 중국의 일부 투자를 허용하는 것이 인도 제조업을 촉진하고, 2291억 9000만 루피(약 3조 6877억원) 규모의 부품 인센티브 제도 성공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전자업계의 한 고위 임원은 "인도 정부에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전자업계 생태계의 발전"이라며 "(중국 기업의) 합작 투자 제안이 이를 뒷받침한다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산업무역진흥청(DPIIT)은 앞서 2020년 '프레스 노트3'를 도입하면서 인도와 국경을 접한 국가들이 인도에 투자할 경우 중앙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했다. 2020년 6월 인도 북부 라다크 갈완 계곡에서 인도군과 중국군이 충돌한 뒤 나온 조치로, 파키스탄·방글라데시·중국 등이 인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으나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재 중국 기업이 인도 기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인도 내무부와 외무부의 보안 승인을 얻어야 한다. 딕슨 테크놀로지 등을 포함한 다수의 인도 전자 제조업체들이 중국 기업과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정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 |
[사진=바이두(百度)] |
인도 정부의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규제 완화 가능성에 대해 중국 관영 매체도 관심을 표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글로벌 타임스(영문)는 20일 니티 아요그의 제안을 보도하며 "수브라마니얌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 장관의 중국 방문 직후 발표된 정책 제안은 환영할 만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타임스는 로이터 보도를 인용, "중국의 대인도 투자 규제가 인도 FDI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며 "인도 엘리트들은 중국 기업의 투자를 제한할 경우 많은 잠재적 투자 기회를 놓치고 자국의 경제 발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글로벌 제조 허브가 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원하는 인도의 꿈은 중국의 투자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며 "중국은 제조업, 인프라 건설, 기술 혁신 분야에서 강점과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인도 제조업 부문에 절실히 필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