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문 부산울산경남취재본부장
![]() |
남경문 부산울산경남취재본부장 |
[부산=뉴스핌] 남경문 기자 = 가덕도 신공항 공사 지연 문제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 쟁점으로 번지고 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이 부산시의 책임을 부각하며 "사업 지연의 원인은 소극적 대응"이라고 지적하자, 부산시는 "협력보다 비난에 몰두하는 자세는 해가 된다"고 즉각 반박했다. 정치가 행정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모양새다.
문제의 발단은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108개월 공기를 제안하면서 비롯됐다. 정부가 제시한 84개월 완공 조건과 큰 차이가 있었고, 이에 부산시는 지난해부터 줄곧 "조건 미달 수용 불가" 입장을 견지해왔다. 국토교통부와의 조율 과정에서도 시는 조속 착공과 조건 충족을 위한 협의를 이어왔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부산시 한 고위공무원은 "공사 지연의 사유가 생겨서는 안 되며, 입찰조건인 84개월 준수를 지켜야 한다"고 분명히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시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프레임이 정치권에서 반복된다면, 이는 프로젝트 전체의 공신력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재 국토부는 보완 요구와 함께 해상 매립공사 보강, TF 운영 등 사업 정상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현대건설이 재입찰 포기를 선언하면서 일시적으로 혼선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정부와 지자체 모두 일정 준수를 위한 조율에 나선 상황에서 일방적 비판은 공론장을 왜곡시킬 수 있다.
지역사회 일부에서는 "정치권의 비난보다는 신속한 재입찰과 착공 일정을 맞추기 위한 협력이 먼저"라는 의견이 나온다. 공항 개항 시기가 불투명해질 경우, 인근 상권과 물류 산업계에 미치는 피해도 무시할 수 없다.
가덕도신공항은 단지 부산만의 현안이 아니다.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이자 남부 경제권 확장의 지렛대다. 정치가 필요 이상으로 앞서가 정쟁으로 변질시킨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민에게 돌아간다.
지금은 공방이 아니라 복원과 협상의 시간이다. 지자체, 시공사, 중앙정부, 정치권 모두가 한목소리로 공기 준수를 위한 실질적 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공동의 책무로 인식할 때 사안은 다시 정상 궤도로 복구될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건 책임 떠넘기기가 아니라 공동 책임 아래 실현 가능한 시간표를 만드는 일이다. 가덕도신공항은 이미 단순한 개발 사업을 넘어, 부산의 미래를 가늠하는 척도다.
국회가 초당적 협력을 다짐했고, 행정부가 사업 재조정에 나서고 있는 지금, 정치권 또한 그 틀 아래에서 건설적 해법을 제시해야 할 때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