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 계획 명확히 정리"...주민 의사 반영 대안 마련 요구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박완수 경남지사는 24일 도청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열린 '호우피해 재난복구 3차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피해 주민의 실질적인 주거와 생계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회의에서는 각 실·국·본부별 피해 현황과 복구 계획이 보고됐으며 부서 간 협력 방안과 현장 애로사항을 공유하는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 |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4일 도청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열린 '호우피해 재난복구 3차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피해 주민의 실질적인 주거와 생계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을 지시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07.24 |
박 지사는 "주택 파손 피해 주민의 거주 계획부터 명확히 정리해야 한다"며 "모텔이나 박스형 주거시설 등 단순 대안에 그칠 거 아니라 주민 의사를 반영한 실질적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마을이 제 기능을 회복해야 진정한 복구"라며 "농경지도 중요하지만 주택부터 신속하게 복구하도록 관련 장비와 인력을 집중 투입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국가하천 지정, 제방 보강, 하천 바닥 준설 등 하천 정비 과제를 신속히 추진하라"며, "덕천강·경호강 등 주요 하천은 환경부와 협의해 국가하천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하라"고 말했다.
복구 현장 인력의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충분한 물 제공, 그늘 및 휴식 확보, 냉방장비 비치, 응급조치 체계 구축 등 5대 기본 수칙 준수를 지시했다. 현재 경남도는 473세대 710명이 임시대피시설에 있으며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시설을 활용한 주거 전환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산청·합천·의령 등에 9600만 원의 재난구호지원사업비를 추가 교부할 계획이다. 정전 피해는 대부분 복구됐고, 단수 지역에는 급수차 24대가 투입됐다.
공공시설 응급복구는 1176건 중 절반 이상 완료됐으며 당월 말까지 피해조사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임시대피소 전수 점검과 함께 구호물품 4000여 점 지원, 급식차·세탁차 운영, 심리지원 프로그램 등 현장 밀착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도는 재난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피해 주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과 지역사회 정상화를 도모할 방침이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