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자민당 내부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퇴진과 조기 총재 선거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참의원 선거 패배 이후 이시바 총리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면서, 당의 리더십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이시바 총리의 자민당 총재 임기는 2027년 9월까지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은 이보다 앞서 총재 선거를 실시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국회의원 서명 운동에 착수했다.
자민당 당칙은 국회의원과 각 도도부현 대표의 과반수가 총재 선거를 요구할 경우, 임기 중이라도 선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른바 '리콜 규정'이다. 2002년 도입됐지만, 아직까지 실제 적용된 사례는 없다.
서명 운동에는 구 아베파, 모테기파, 아소파 일부 등 비주류 계파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당내 의사결정기구인 양원 의원총회 개최를 요구하고 있으며, 총회 소집을 통해 당내 여론을 공식적으로 확인하고 총리 사임 압박을 가하려는 전략이다.
양원 의원총회는 국회의원의 3분의 1 이상이 요구하면 소집 가능하며, 리콜보다 절차가 간단하다.
![]() |
23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자민당 본부에서 아소 다로 등 전직 총리 3인과 회담을 마치고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총리 퇴진론은 일부 지방 조직에서도 확산 중이다. 고치, 이바라키, 나라 등 몇몇 도도부현 연합이 지도부 교체를 요구하고 있으며, 전국 단위로 확대될 경우 이시바 정권은 더욱 흔들릴 수 있다.
이런 움직임은 다가올 자민당 총재 선거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총재 선거는 '풀스펙(Full Spec)' 방식과 '의원총회' 방식 중 하나로 치러질 수 있다.
풀스펙 방식은 당원과 국회의원 표가 동등한 비율로 반영돼 당원 기반이 강한 후보에게 유리하다. 반면 의원총회 방식은 국회의원 중심으로 이뤄져 당내 세력의 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한다.
총재 선거 방식은 자민당 최고 의결기구인 총무회에서 결정되며, 방식에 따라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 담당상등 대중 인지도 높은 후보와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 등 당내 기반이 탄탄한 인사들 간의 유불리가 갈릴 수 있다.
이시바 정권은 현재 중·참 양원 모두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한 '소수 여당' 지위에 머물러 있어, 야당과의 협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집권 기반이 약한 가운데 지도부 재편을 둘러싼 당내 분열이 심화될 경우, 정치적 불안정성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 SNS서 "그만두지 마" 해시태그 확산
한편, 일본 내 SNS에서는 이시바 총리의 거취를 둘러싸고 '#이시바 그만두지 마'라는 해시태그가 확산되고 있다.
참패의 책임이 총리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과 함께, 자민당 이외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정권의 보수화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눈에 띈다.
이번 참의원 선거에서 처음 당선된 사민당의 라살 이시이는 자신의 엑스(X) 계정에 "최근 자민당 총리 중 가장 믿을 만하다"고 글을 올렸다.
SNS상에서는 자민당 파벌의 불법 정치자금 문제 등을 언급하며 "부정적인 유산을 혼자 떠안은 이시바 총리, 누구라도 해결하기 어려운 일"이라는 옹호론이나, 이시바 총리 이후 보수 성향의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이 총리에 오를 가능성을 우려하는 의견 등이 나타나고 있다.
![]()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