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사용 사흘째, 쌀·고기류·생필품 수요 폭증...매출 평균 두 자릿수 증가
사용처 제외된 마트 대신 편의점 찾는 수요 늘어난 덕...소비쿠폰 최대 수혜처 전망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국내 편의점업계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소비쿠폰)' 특수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그동안 편의점에서 잘 판매되지 않던 쌀과 고기류, 바디·헤어용품 등 생활용품이 소비쿠폰 사용이 시작되자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이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되면서 근거리 쇼핑채널인 편의점이 최대 수혜 채널로 부각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 당시 재난지원금 수혜를 봤던 편의점업계는 소비쿠폰이 지급된 이후 처음으로 맞는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매출 증가세가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광명=뉴스핌] 김학선 기자 = 지난 22일부터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시작한 가운데 전통시장과 동네마트, 편의점업계 등에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소비 진작을 통한 내수 회복을 목표로 이번 소비쿠폰을 두 차례에 걸쳐 최대 55만원 지급한다. 지난 18일 경기 광명시의 한 편의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안내문이 붙어 있다. yooksa@newspim.com |
2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2~24일까지 사흘간 소비쿠폰 사용이 본격화하면서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국내 주요 편의점 업체 4개사의 매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간편식(HMR)은 물론, 생수, 육류, 김치 등 생필품 판매량이 급증한 덕분으로 분석됐다.
GS25에서는 특히 국산 식재료와 냉장·냉동식품의 매출이 눈에 띄게 신장됐다. 품목별로 보면, 소비쿠폰이 풀리기 시작한 지난 22부터 24일까지 3일간 국·탕·찌개류(냉장·냉동)의 매출은 전월 같은 요일(6월 24~26일) 대비 324.8%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그 뒤를 이어 국산 우육은 168.5% 매출이 크게 늘었으며, 계육의 경우 134.3%, 국산 돈육은 72.6%씩 급증했다.
소비쿠폰으로 편의점에서 김치를 구매하는 수요도 전달 같은 요일과 비교해 93.7% 크게 늘어나 매출 효자 품목으로 등극했다. 국산 과일 역시 매출이 61%나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과일 통조림은 30% 급증했다. 즉석밥(13.8%)과 도시락·주먹밥 등 간편식류(20.6%) 매출도 두 자릿수 신장률을 기록했으며, 최근 무더위가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음료도 36.7%나 매출이 뛰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소비쿠폰으로, 주요 장보기 상품인 먹거리와 생필품 소비가 많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김치, 국산 과일, 과일 통조림 등 냉장 식품과 상온 식품 매출이 모두 눈에 띄게 증가해 가맹점 소상공인 매출 활성화에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세븐일레븐도 소비쿠폰 효과로 매출이 늘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여성용품(20%), 샴푸·비누 등 헬스앤뷰티(H&B, 20%), 패션(30%) 같은 비식품군 매출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쌀·잡곡(80%)과 기저귀(50%), 냉동 정육(30%) 등의 품목에서도 매출 증가세가 뚜렷했다. 외식 대신 편의점 간편식을 찾는 수요도 이어지며 도시락 등 간편식 매출은 15%, 생수는 40% 각각 늘어났다.
![]() |
이마트24 매장 전경. [사진=이마트24] |
이 기간 이마트24은 평균 매출이 10% 가량 급증했다. 소비쿠폰 사용 첫날인 지난 22일 매출이 9% 늘어나는 데 그쳤으나, 둘째 날부터 정부 지원금으로 결제하려는 수요가 편의점으로 몰리면서 매출 신장률이 확대된 모습이다. 그 결과, 지난 23~24일 이틀간 전체 매출은 각각 12% 늘며 전체 평균 매출을 끌어올렸다.
이는 생필품과 여름철 인기 품목이 전체 매출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품목별로 보면 쌀, 잡곡 등 양곡류 매출이 전월 동기 대비 136% 치솟으며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고급 아이스크림의 매출은 66% 신장하며, 일반 아이스크림(35%)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휴대용 선풍기 등 생활·소형가전도 108%나 폭증했다. 소비쿠폰이 지급되자 평소 편의점에서 구매하지 않던 제품 구매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물티슈(매출 50%), 세제(40%), 헤어·바디용품(38%), 면도용품(36%), 제지류(32%) 등 생필품 카테고리도 일제히 매출이 뛰었다. 여름철 상품군도 잘 팔려나간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얼음(44%), 파우치 음료(42%)가 40% 넘게 매출이 신장했으며, 탄산음료·스포츠음료·에너지음료 등 청량음료군 역시 32%나 뛰었다.
![]() |
정부가 지난 22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시작한 가운데 편의점들이 최대 수혜처로 떠올랐다. 사진은 고객이 CU 편의점에서 물건을 산 뒤 계산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모습. [사진-BGF리테일 제공] |
CU에서는 지난 22~23일까지 이틀간 주요 식음료과 건강 관련 품목이 강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가장 매출 증가폭이 큰 품목은 생수로 집계됐다. 생수의 매출은 소비쿠폰이 풀리자 이틀간 47.7%나 급증했다. 가정간편식 역시 40.8% 매출이 증가했으며, 이어 ▲탄산음료(37.4%) ▲건강식품 (32.7%) ▲즉석밥 (28.3%) ▲샌드위치(26.4%) ▲김밥(20%) ▲도시락(16.8%) 순으로 뒤를 이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런치플레이션(점심+인플레이션)과 같은 외식 물가 부담에 편의점 간편식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쿠폰 지급 이후 주류와 즉석식 중심으로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업계는 이번 주말을 소비쿠폰 사용에 따른 매출 증대 효과를 가늠할 수 있는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주말 무더위와 야외활동 증가가 맞물리며, 소비쿠폰 사용하는 수요가 편의점으로 몰리며 깜짝 특수를 누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쿠폰 사용이 시작된 이후 나타난 소비 흐름은 이번 주말까지 이어지며 추가적인 매출 증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편의점 관계자는 "폭염과 주말 소비가 맞물리며 향후 일주일간 소비쿠폰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