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고성장·하이마트 반등에 실적 반등…소비심리 회복이 하반기 실적 관건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롯데쇼핑이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일제히 증가하며 실적 반등을 이룰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베트남 등 해외 점포의 호실적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고, 가전양판점 부문도 회복 흐름을 이어가면서 힘을 보탰다. 하반기에는 소비심리 회복 등 내수 부양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본격적인 실적 회복 국면에 접어들 것이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 |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전경. [사진=롯데백화점] |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롯데쇼핑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3조44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610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8.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당기순이익도 115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797억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번 실적 개선의 일등 공신은 해외 사업이다. 롯데쇼핑의 해외 매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올해 1분기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15%로, 지난해 말 12%에서 3%포인트(p) 상승했다. 최근 3년간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 점포를 꾸준히 확장해온 전략이 외형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베트남은 롯데쇼핑의 핵심 성장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베트남 하노이의 '롯데 웨스트레이크몰' 매출은 2023년 4분기 135억원에서 지난해 4분기 211억원으로 1년 새 56.3% 증가했다. 프리미엄 쇼핑몰 전략과 함께 젊은 층과 가족 단위 고객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지에서 K컬처(한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 이를 적극 활용한 점이 주효했다"며 "점포 수 증가 외에도 기존점 성장률이 연 5~6% 이상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
롯데하이마트 본사사옥. [사진=롯데하이마트 제공] |
국내 사업 부문에서는 롯데하이마트가 선방하며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 전날 2분기 잠정 실적치를 공개한 롯데하이마트의 매출은 594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0.8% 성장했다. 이는 지난 1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매출 성장세를 유지한 것이다. 영업이익은 105억원으로 전년 동기(28억원) 대비 275% 급증했다. 자체 브랜드(PL) 강화, '안심케어 서비스', 체험형 매장 확대 등 체질 개선 노력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반면 백화점 사업 부문은 소비심리 위축 여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증권가에 따르면 2분기 백화점의 기존점 성장률은 0~1% 수준에 그친 것으로 추정됐다. 고급 브랜드 중심의 포트폴리오와 리뉴얼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명품 수입 브랜드의 성장 둔화와 내수 소비 위축이 실적을 끌어내린 영향이다.
할인점 부문인 롯데마트도 부진한 것으로 관측됐다. 프로모션 확대와 물류 자동화 투자(오카도, Ocado)에 따른 비용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돼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국내 마트 기존점 매출은 1.9% 신장하며 양호했으나, 오카도 자동화 물류 관련 비용과 프로모션 비용 확대 등의 영향으로 약 278억원의 영업 적자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하반기에는 반등 여력이 충분하다는 기대도 나온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과 함께 중국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허용 조치가 본격화되면서 내수 소비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롯데쇼핑의 주력 사업인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직접적인 소비쿠폰 수혜 업종은 아니지만, 소비심리가 살아나는 흐름 속에 간접적인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8로, 전월 대비 2.1포인트 상승하며 2021년 6월(111.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2003년 이후의 평균값(100)을 기준으로 소비자들의 경제 전망에 대한 낙관·비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100 이상이면 낙관, 이하일 경우 비관적으로 해석된다.
김명주 연구원은 "하반기에는 유통업종 전반의 기저 효과가 낮고, 정부의 추경 집행이 소비 진작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며 "출생아 수 증가와 혼인 건수 회복세 등 구조적인 수요 회복 흐름도 유통 섹터 밸류에이션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