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상호관세 타결…자동차는 25%→15%로 관세 인하
韓 포함 日·EU도 철강·알루미늄 고율 관세 유지
철강업계 "품목별 수출 전략 수립"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한미 간 상호관세 협상이 타결됐지만 철강과 알루미늄은 예외였다. 자동차·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관세가 인하된 반면, 철강과 알루미늄은 기존 50% 고율 관세가 그대로 유지되며 업계의 수출 전략에도 비상이 걸렸다.
31일 상호관세 협상 기한(8월 1일)을 하루 앞두고 대미 관세 협상 결과가 발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과 만난 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미국이 한국과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
현대제철 당진공장 전경 [사진=현대제철] |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를 낮추는 조건으로 3500억 달러(약 486조) 규모의 대미투자를 약속했다.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업 협력펀드와 2000억 달러의 반도체·원전·이차전지·바이오 투자 펀드를 합친 금액이다.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최혜국 대우를 약속 받았으며 자동차 품목 관세는 기존 25%에서 15% 하향 조정됐지만 철강과 알루미늄 등 원자재는 이번 협상에서 빠졌다.
그러나 철강·알루미늄은 협상 테이블에조차 오르지 못했다. 미국은 지난 3월 이들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6월에는 이를 두 배인 50%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한국은 물론, 일본과 유럽연합(EU)도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하를 얻어내지 못한 상황에서 이번 협상 역시 예외는 없었다.
이에 따라 철강업계의 대미 수출은 추가적인 악화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5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3억27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3% 감소했다. 수출 단가도 톤당 1295달러로 9.4% 하락했다.
기업별 실적도 관세 영향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2분기 별도 기준 매출 8937억원, 영업이익 2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 26.1% 줄었다.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동국씨엠은 같은 기간 매출이 10.8% 줄고, 영업이익은 영업손실 15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현대제철은 연결 기준으론 2분기 매출 5조9456억원, 영업이익 10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지만, 별도 기준으로는 7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적자 전환했다. 포스코홀딩스는 2분기 실적 발표 전이지만, 증권가에 따르면 매출 18조526억원, 영업이익 6468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5%, 14.0% 줄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내 직접 생산을 통해 관세 회피가 가능한 철강 기업은 아직 없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그룹 차원에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일관제철소 설립을 추진 중이며, 포스코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다만 본격 가동은 2029년부터로 예정돼 있어 그 전까지의 수출 차질은 불가피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의 경우 관세가 50% 유지되어 관세 변동사항이 없다"며 "미국 시장에서의 고전이 예상되어, 향후 미국 시장 상황을 면밀히 파악해 품목별 수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며 정부와도 긴밀히 협의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