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엔비디아·AMD, 대중 반도체 판매 매출 15% 미 정부에 제공 합의"
"수출 허가와 수익 공유 '맞교환' 합의 전례 없어"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엔비디아와 AMD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대중 수출 허가를 받는 조건으로 중국에서의 반도체 판매 매출의 15%를 미 정부에 제공하기로 합의했다고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FT는 사안에 정통한 인사들과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면서, 이러한 수익 공유가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해당 반도체에 대한 수출 허가를 받기 위해 마련된 이례적인 협정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판매되는 H20 칩 매출의 15%를, AMD는 MI308 칩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제공하기로 했다. 두 명의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가 아직 이 자금을 어떻게 사용할지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좌)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사진=블룸버그통신] |
FT는 이런 '맞교환(qud pro quo)'식 합의는 전례가 없다고 강조했다.
수출 통제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 기업이 수출 허가를 받기 위해 매출의 일부를 지급한 사례는 지금까지 없었다. 그러나 이번 합의는 트럼프 행정부의 일관된 행보와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엔비디아의 H20 대중 수출은 미국 내에서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는데, 미국 안보 전문가들은 H20 칩이 중국 군사력 강화와 미국의 AI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국가안보 부보좌관을 지낸 중국 전문가 매트 포팅거를 비롯한 안보 전문가들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H20 수출 허가를 내주지 말 것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H20이 "중국의 최첨단 AI 역량을 가속화하는 강력한 촉매"이며, 결국 중국군에 의해 사용될 것이라고 주장했고, 엔비디아는 이러한 주장을 "오해에 기반한 것"이라고 일축한 상태다. H20이 군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점도 부인했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 지난 금요일 FT는 상무부가 H20 칩의 수출 허가를 발급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지 이틀 후였다. 미 정부 관계자는 AMD의 중국 판매용 칩에 대해서도 수출 허가가 발급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도 상대국으로부터 거액의 투자 약속을 받아내고 있으며, 자국 기업들에게도 미국 내 일자리 및 수익 창출에 기여해야 한다면서 대규모 투자를 압박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을 비롯해 엔비디아, TSMC, 마이크론, IBM, 소프트뱅크 등 수많은 기업들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고 공개한 바 있다.
AMD는 이번 보도와 관련한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합의 사실을 부인하지 않았다. 회사 측은 "우리는 전 세계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설정한 규칙을 따른다"고만 밝혔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