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이후 수출 중단 기업 79% "재진출 긍정적"
결제·환율·물류 불안 해소 위한 지원 요청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수출을 멈춘 국내 기업 10곳 중 8곳이 재진출 의향을 보였다. 기업들은 결제·환율·물류 불안을 주요 장애로 지적하며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2일 발표한 '한-러 교역구조 변화와 향후 수출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전쟁 이후 러시아 수출을 중단한 국내 기업의 79.2%가 재진출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수출 재개 사유로는 '시장 회복 가능성'과 '기존 바이어와의 관계 유지'가 꼽혔다.
![]() |
무역협회 전경 [사진=무역협회] |
우리나라의 대 러시아 수출은 지난 2021년 100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으나, 전쟁과 제재 영향으로 2024년 45억3000만 달러로 줄었다. 같은 기간 수출기업 수는 4003개사에서 1861개사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전략물자뿐 아니라 일부 비전략물자까지 수출통제가 확대되면서 허가 대상 품목이 지난 6월 기준 1431개로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러시아 측 결제·통관·관세 조치도 교역 위축을 가중시켰다.
수출 중단 기업들은 러시아 특화 제품 비중과 정보 부족으로 대체시장 진출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다른 국가로 전환한 기업 비율은 37.2%에 그쳤다. 러시아 시장 회복 가능성에 대해선 51.8%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수출 재개 장애 요인으로 결제·환율 위험(69.9%), 물류·운송 환경(44.6%), 지정학적 불안(43.2%) 등을 지목했다.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제재 관련 정보 제공(37.5%)이 가장 많았고, 금융·수출보험(22.9%), 물류·통관 지원(18.9%) 순이었다.
유서경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전후 복원 수요와 인접 시장 연계 가능성을 고려하면 러시아는 놓쳐선 안 될 시장"이라며 "복원 시나리오 기반의 교역 재개 로드맵과 민관 협력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