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법위반·체류기간 초과·테러지원 등 혐의"
WP "구금·추방 위기 유학생들, 학업 계속 재고"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법률 위반, 체류 기간 초과, 테러 지원 등의 혐의로 수천 건의 유학생 비자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뉴스 등 미국 언론은 18일(현지시간) 국무부를 인용해 6,000건 이상의 유학생 비자가 취소됐으며, 이 중 약 4,000건은 폭행, 음주 운전, 강도 등 범죄 혐의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국무부 관계자는 또 200~300건의 유학생 비자가 테러 지원을 이유로 취소됐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한 외국인 유학생들을 테러 지원 혐의로 체포해 기소하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번 조치가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인 입국 경로를 좁히는 조치 중 하나로 유학생 비자 신청에 대한 심사를 대폭 강화하는 가운데 나왔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4월 미 이민귀화국(USCIS)은 유학생을 포함한 비자 신청자들의 소셜 미디어에서 반유대주의 게시물을 심사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와 다른 정치적 발언을 빌미로 비자 발급을 거부하겠다는 것.
6월에는 국무부까지 나서 유학생 비자 신청자는 개인 소셜 미디어 계정을 공개해야 한다고 공지했다. WP는 대학 신문에 기고한 글이나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 여러 활동으로 인해 유학생들이 구금 또는 추방될 위험에 처하면서 일부 학생들은 미국에서 학업을 계속할지를 재고하게 됐다고 꼬집었다.
![]() |
2025년 6월 6일 미국 뉴욕시 콜롬비아 대학교 캠퍼스에서 교수진과 교직원들이 교내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사진=로이터 뉴스핌]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하버드와 컬럼비아 대학교 등 여러 명문 대학들과 연방정부 지원금 박탈을 무기로 반복적인 갈등을 빚어오고 있다. 대학 당국이 학생들의 반이스라엘 시위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지만 자신이 내세우는 미국 우선주의 이념에 반하는 진보적 색채를 최고 교육기관에서 지우려는 큰 그림이 자리하고 있다는 평가다.
컬럼비아 대학교는 지난 7월 연방정부가 제기한 소송에서 2억 달러(2778억 원) 이상을 합의금으로 지급하기로 한 뒤에야 동결됐던 4억 달러(5557억 원) 규모의 연구 보조금 및 지원금을 복원받을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대학 측은 외국인 유학생 입학 정책 재검토를 정부에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버드 대학교도 연방정부 지원금 동결에 반발해 소송을 진행 중으로 이 외에도 수십 곳의 대학이 조사나 지원금 중단 위협을 트럼프 행정부로 부터 받고 있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