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권 활성화·세외수입 증대 등 경제 효과 창출
올해 대관 수입만 55억+α…새로운 수익 모델
글로벌 공연 연속 개최…"고양시 오늘도 흥행"
[고양=뉴스핌] 최환금 기자 = 고양특례시가 글로벌 스타 공연 유치로 문화와 경제를 동시에 성장시키는 '페스타노믹스' 전략을 추진하며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공연을 통해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체류와 소비를 늘리는 콘텐츠로 활용하며, 장기적으로 관련 인프라 확충에 나설 계획이다.
![]() |
고양시-라이브네이션코리아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 |
고양종합운동장 전경.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지난 3월 지드래곤 공연을 시작으로 블랙핑크, BTS 멤버 제이홉·진, 콜드플레이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고양종합운동장 무대에 올랐다.
이들 공연은 관객의 에너지가 도시 전체로 퍼지며 주변 상권 활성화와 세외수입 증대로 이어졌다. 특히 올해 세외수입은 55억 원을 돌파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공공체육시설을 대형 공연장으로 활용하는 발상의 전환과 시가 추진한 세입 다변화 정책 덕분이다.
![]() |
고양시-라이브네이션코리아 업무협약 체결 모습.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 |
고양시 대형공연 통합 지원대책 보고회.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다음 무대는 누구?!…'고양콘', 단순 콘서트 넘어 대표 브랜드로
지난달 고양종합운동장의 주요 공연 일정 공개 이후 시민과 팬들은 '누가 고양종합운동장에 서는가'를 큰 관심사로 삼았다.
이에 따라 '고양콘'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나면서 단순한 콘서트를 넘어 하나의 지역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고양시는 글로벌 아티스트 유치 성공을 위해 라이브네이션과 MOU를 맺고 30여 개 부서가 참여하는 현장 종합지원반 운영, 경찰·소방 등 유관기관 협력 체계 구축으로 안전과 편의를 철저히 관리한다.
![]() |
이동환 고양시장(가운데)이 대형공연 지원 실무진 간담회에서 화이팅하고 있다. [사진=고양시]2025.08.22 atbodo@newspim.com |
![]() |
고양종합운동장 순환버스 운영.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또한 임시 셔틀버스 운행, 관객 동선 관리 및 실시간 안내 시스템 가동 등도 호평받았다.
하반기에는 국내 정상급 밴드 데이식스(8월), 전설적 록밴드 오아시스(10월), 그리고 세계적 힙합 아티스트 트래비스 스캇(10월) 내한공연이 예정돼 있어 고양콘 열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발상의 전환" 새로운 수익 모델…지역경제 견인
공연 개최 효과는 경제적 측면에서도 뚜렷하다. 지난 3월 지드래곤 공연을 시작으로 콜드플레이, BTS 제이홉·진, 블랙핑크 공연이 이어지며 고양시는 국내외 팬들로 붐볐다.
![]() |
지드래곤 공연 대비 현장 점검 중인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 |
블랙핑크 공연 전 현장을 점검하는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인근 음식점과 카페는 사람들로 가득 찼고, 숙박시설 대부분은 사전 예약으로 조기 마감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했다.
공공체육시설의 다목적 활용은 세외수입 확대라는 새로운 도시 수익 모델로 자리 잡았으며, 경기도 세외수입 연구발표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문화예술 전반 아우르는 '글로벌 공연도시' 고양
아람누리·어울림누리 등 기존 문화시설에서는 클래식부터 발레까지 다양한 장르의 세계적인 예술공연이 이어지고 있다.
![]() |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환영 리셉션에 참석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 |
소프라노 조수미-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초청 공연 모습. [사진=고양시] 2025.08.22 atbodo@newspim.com |
올해 상반기에는 카타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내한 및 조수미 협연 등이 큰 호응을 얻었다. 하반기에도 정경화&케빈 케너 듀오 리사이틀(9월), 백건우 피아노 리사이틀(10월), 링컨센터 체임버뮤직소사이어티(11월) 등의 명품 무대가 준비돼 있다.
또 KBS교향악단 정명훈 지휘 연주회와 유니버설발레단 돈키호테 작품도 예정돼 있어 고양시는 대중음악뿐 아니라 클래식 분야에서도 국내 최고 수준의 문화예술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앞으로 방송영상밸리(2026년), IP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2027년), 킨텍스 제3전시장 및 앵커호텔(2028년), 아레나 공연장(2029년) 완공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문화도시 기반 시설 확충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atbod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