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오이드 사태 일단락
고강도 구조조정 효과 가시화
오스테도 판매 호조
이 기사는 8월 22일 오후 2시3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8월 중순부터 억만장자들의 2분기 자산 운용 현황을 담은 13F 보고서에 월가의 시선이 집중된 가운데 스탠리 드러켄밀러가 꾸준히 사들이는 제약주가 화제다.
인공지능(AI) 버블 논란이 고조되는 상황에 드러켄밀러가 이끄는 듀케인 패밀리 오피스는 엔비디아(NVDA)에 이어 팔란티어(PLTR) 보유 물량을 전량 매도했다. 특히 팔란티어는 주가매출액비율(PSR)이 140배에 달해 고평가 논란을 피하기 어려운 만큼 전량 매도가 전혀 이상하지 않다는 반응이다.
이보다 듀케인이 테마 파머슈티컬 인더스트리스(TEVA)를 4분기 연속 대량 매입한 데 월가는 뜨거운 관심을 보인다.
13F에 따르면 총 운용 자산 규모가 40억달러를 웃도는 듀케인은 2분기 테바 주식을 108만9185주 매입했다. 이에 따라 듀케인은 테바 주식을 4분기 연속 사들였다. 2024년 3분기 142만7950주를 매입한 데 이어 4분기와 2025년 1분기 각각 756만9450주와 588만2350주를 추가로 사들인 데 이어 최근 분기 또 한 차례 대량 매수한 것.
듀케인의 주식 포트폴리오에서 테바는 편입 비중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업계에 따르면 테바 주가는 8월21일(현지시각) 18.80달러로 거래를 마감해 2023년 6월9일 저점 7.33달러에서 두 배 이상 랠리했다.
가파른 주가 상승에 따른 부담에 아랑곳하지 않고 드러켄밀러가 보유 물량을 늘리는 배경에 월가는 신경을 곤두세운다.
![]() |
스탠리 드러켄밀러 [사진=블룸버그] |
최근 2년 가량 주가 급등에 앞서 지난 2015~2023년 사이 테바 주주들은 굵직한 악재에 시달렸다. 무엇보다 테바가 제네릭 전문 제약업체 액타비스를 지나치게 비싼 가격에 인수하면서 막대한 부채를 떠안게 됐고, 미국 각 주 정부가 오피오이드 사태와 관련해 테바를 제소하는 등 다수의 소송에 휘말린 것.
소위 오피오이드 위기(Opioid Crisis)는 1990년대 후반 미국 제약사들이 옥시콘틴과 하이드로코돈 등 오피오이드 진통제를 중동 위험이 낮다고 홍보하며 대량 판매한 데서 비롯됐다. 그 결과 의료진의 무분별한 처방이 이어졌고, 대규모 중독 사태가 발생했다.
![]() |
테바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1999년 이후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으로 인한 사망자가 50만명을 웃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의료비와 사법 처리, 생산성 손실 등 2차적인 사회적 비용도 천문학적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테바 역시 옥시코돈 등 오피오이드 제네릭 의약품을 생산, 판매했고, 상당수의 주 정부는 테바가 중독 위험성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고 무책임하게 의약품을 공급해 위기를 확산시켰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장기간에 걸친 법적 다툼 끝에 테바의 경영진은 사태를 거의 모두 정리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2023년 초 미국 48개 주가 오피오이드 관련 소송에서 42억5000만달러 규모의 합의에 도달했다.
이는 막대한 금액이지만 13년에 걸쳐 분할 지급되고, 이 중 최대 12억달러 가량은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 해독제인 제네릭 날록손(상품명 나르칸) 형태로 제공된다. 테바를 둘러싼 법적 불확실성이 사실상 해소된 셈이다.
드러켄밀러가 테바 주식을 본격적으로 매입하기 시작한 것도 오피오이드 관련 사법 리스크가 일단락 된 시기와 맞물린다.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테바가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특수 약품 등 주력 비즈니스에 에너지를 집중, 본격적인 성장 회복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리처드 프란시스 최고경영자(CEO)는 비즈니스의 무게 중심을 신약 개발로 전환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섰고, 이를 통해 매출 성장과 이익률을 개선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지연성 운동 장애 및 헌팅턴 병 치료제인 오스테도가 대표적인 사례로, 2025년 연간 매출액이 최소 2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지연성 운동 장애는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 받는 환자들에게 발생하는 비자발적이고 비가역적인 운동 장애다. 이 경우 의도와 상관 없이 얼굴을 찡그리게 되거나 입을 실룩거리고, 팔이나 다리가 저절로 움직이는 증세가 나타난다.
헌팅턴 병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성 뇌질환으로, 극심한 신체적 정신적 무능력 상태에 빠지다가 결국 사망에 이른다.
법적 다툼이 고조됐던 2010년 중반 이후 테바는 고강도 구조조정도 강행했다. 기업 회생 전문가로 통했던 케어 슐츠 전 최고경영자(CEO)를 중심으로 경영진은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는 한편 운영 비용을 대폭 삭감하며 위기 상황에 대응했다.
이를 통해 테바는 부채 규모를 대폭 축소했고, 그 결과 신약 연구개발(R&D)에 더욱 적극적인 투자를 추진할 수 있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이익을 늘리고 주가 밸류에이션 부담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졌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테바는 2025년 2분기 41억8000만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에 비해 0.29% 완만하게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2억82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3.33% 급증했고,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주당순이익(EPS) 역시 0.24달러로 132% 뛰었다.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66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비해 8% 늘어난 한편 시장 전망치인 0.63달러를 웃돌았다. 매출액이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연출한 동시에 월가의 기대치인 42억8000만달러에 미달했지만 투자자들은 이익 급증과 수익성 강화에 의미를 실었다.
매출 성장 정체는 제네릭 의약품 사업 부문의 매출 감소에 따른 결과로 나타났다. 제네릭 의약품 판매가 9억61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에 비해 6% 위축됐지만 오스테도를 포함해 테바 브랜드의 의약품 매출이 미국 시장에서 21억5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 늘어나면서 전체 매출액 감소를 막아냈다.
오스테도 미국 판매 규모는 2분기 4억950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에 비해 22% 급증한 수치다. 시장 전문가들은 오스테도 처방이 점차 늘어나고 있어 매출 성장이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2분기 조정 매출총이익률이 54.6%를 기록하며 1년 전에 비해 170bp(1bp=0.01%포인트) 뛴 데 대해서도 시장 전문가들은 오스테도 판매 호조에서 이유를 찾는다.
또 다른 자체 브랜드 의약품인 아조비 판매도 호조를 이뤘다. 편두통 치료제인 아조비는 2분기 63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53% 급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테바는 2025년 매출액 전망치를 168억~172억달러로 제시했다. 오스테도 연간 매출 전망치는 19억5000만~20억5000만달러에서 20억~20억5000만달러로 하단을 높여 잡았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