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 후 '전쟁부'로 불리다 1947년 '국방부'로 이름 바꿔
트럼프 대통령, "의회 승인 필요 없다. 우리가 하면 따라올 것"
"전쟁부 시절은 놀라운 승리의 역사"…적성국 압박 의도인 듯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각) 미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 명칭을 제1·2차 세계 대전 시절 사용하던 '전쟁부(Department of War)'로 되돌리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주 방위군 신속 배치' 등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배석한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에게 "당신이 처음 '국방부'라고 말했을 때 좋게 들리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왜 우리가 방어만 해야 하나. 공격도 원한다. 전쟁부가 훨씬 강한 이름이었다"면서 "전쟁부였을 때 우린 양차 세계 대전, 모든 전쟁에서 이겼다. 그래서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 |
[서울=뉴스핌] 대통령실이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사진을 공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이 방명록 작성시 사용한 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8.27 photo@newspim.com |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진 이재명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방어만 하고 싶지 않다. 공격도 원한다"며 국방부의 명칭을 전쟁부로 바꿀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어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에게 명칭 변경 업무를 맡기겠다고 설명했다. 의회 승인 없이는 명칭 변경이 어렵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필요하지 않다. 우리가 하면 의회가 따라올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 전쟁부는 1789년부터 1947년까지 존재했다.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인 1947년, 전쟁부를 육군과 공군으로 나누고 독립적 해군을 통합해 새 내각급 기관을 '국방부(펜타곤)'로 명명했다. 미 의회는 1949년 국방안보법을 개정해, 국방부가 육·해·공군을 지휘하는 현 체계를 확립했다. 영국의 '워오피스(War Office)', 프랑스의 '미니스테르 드 라 게르(Ministère de la Guerre)'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방부로 개편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국방부 명칭 변경 의지를 공개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그는 지난 6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서 헤그세스 장관을 '전쟁부 장관'(Secretary of War)으로 부르며 "정치적 올바름(PC·political correctness)을 추구하면서 국방장관이라고 부르게 됐다"고 언급한 바 있다. 미 국방부 애나 켈리 대변인은 "대통령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보다 전쟁 참전 용사를 우선시한 이유다. 계속 지켜봐 달라"고 밝혔다.
'국방부'란 명칭엔 침략적 선제 공격을 자제하고 평화적 방어(defense)를 우선하겠다는 의미가 숨겨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전쟁부 명칭을 사용하던 주요 국가가 모두 이름을 바꿨고, 북한마저 2020년 '인민무력성'을 국방성으로 개칭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를 파멸시킬 뻔했던 전쟁을 반성하고, 군에 대한 문민 통제를 강화하는 민주주의 흐름을 트럼프가 '정치적 올바름(PC)'으로 치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영국 더타임스는 "전쟁부는 트럼프의 지지 기반을 정의하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구호와 더욱 잘 부합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트럼프가 압도적인 군사력을 보유한 미국의 안보 정책을 공격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전쟁 억지를 노리는 한편, 선제공격 의지를 드러내 적성국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했다.
goms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