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국제방송영상마켓(BCWW) 2025'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제방송영상마켓(BCWW) 2025'에서 중국의 글로벌 숏폼 플랫폼 드라마박스가 한국과의 협업을 희망했다.
1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코엑스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코엑스가 공동 주관하는 'BCWW 2025'가 개최됐다. 올해로 25주년을 맞은 BCWW는 K콘텐츠의 글로벌 진출을 이끄는 아시아 최대 국제 방송영상 전문 마켓이다.
올해는 'BCWW, 윈도우 투 왓츠 넥스트(Window to What's Next)'라는 슬로건 아래 미래 미디어 콘텐츠 산업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행사는 전시마켓, 콘퍼런스, 쇼케이스, 비즈매칭, 시상식, 넥스트 K미디어 페스티벌 등으로 구성됐다. 행사에는 대만, 일본, 중국, 몽골, 튀르키예 등 20개국 350여 개사가 참가, 미국, 싱가포르, 태국 등 36개국의 800여 명의 바이어가 참여할 예정이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제방송영상마켓(BCWW) 2025'에 참석한 중국 숏폼 플랫폼 드라마박스의 셀레나 셴 한국지사 이사(가운데)와 정다빈 밤부네트워크 대표(오른쪽). 2025.09.17 alice09@newspim.com |
이날 '1분이 세계를 바꾸는 시대, 숏폼 드라마의 확장' 주제의 세션에서는 셀레나 셴 드라마박스의 한국지사 이사와 정다빈 밤부네트워크 대표 등이 참석했다. 글로벌 마이크로 드라마(수 초에서 수 분에 이르는 짧은 분량의 드라마) 시장을 뒤흔든 드라마박스와 K콘텐츠의 새로운 문법으로 숏폼의 길을 여는 밤부네트워크는 현재 숏폼 드라마의 선두주자로 꼽힌다.
중국의 글로벌 숏폼 플랫폼 드라마박스는 현재 한국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릴스, 쇼츠 등에서 숏폼 드라마를 공개하면서 입소문을 탄 기업이다.
셀레나 셴 이사는 "드라마박스가 한국에서 어떤 전략을 취하고 있는 지, 한국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 지 말씀드리려고 한다. 중국과 한국은 문화적 공통점이 많다고 느껴서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진출하게 됐다. 저희는 한국이 미국을 이은 드라마박스의 생산 기지가 되길 바라서 한국에서 두 편의 드라마가 공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임 재벌의 아이를 가졌다', '폭풍같은 결혼생활'이 공개됐다. 이전까지 가장 실적이 좋았던 것은 '해야만 하는 쉐어하우스'였는데 이 두편도 성적이 좋았다. '폭풍같은 결혼생활'은 75일 동안 총 수익이 3억원을 돌파했다. '불임 재벌의 아이를 가졌다' 역시 좋은 실적을 거뒀다. 출시 5일 동안 수익은 '쉐어 하우스'의 2배였다"고 밝혔다.
셀레나 이사는 "두 작품 공개 후 앱스토어에서 드라마박스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순위가 상위권을 차지했는데 이는 한국 작품이 얼마나 좋은 성과를 거두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마이크로드라마의 정의가 저희랑 다른 것 같다. 저희는 드라마박스의 노하우를 가져와서 한국의 기존 스태프와 협업을 해 나가길 바란다"라며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 온 것이 아니라 한국과 함께 이런 기반을 통해 해외 진출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의 우수 콘텐츠를 드라마박스를 통해 전 세계에 진출시키고 싶어서 한국에서 많은 협력 파트너를 찾았다. 드라마 협력 파트를 찾을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이 지식재산권(IP) 관련한 것이다. 한국에 이미 훌륭한 작품이 많지만 발굴되지 못한 소재도 많다. IP가 우수해야만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드라마박스의 마이크로 드라마 70%가 중화소재지만, 나머지 30%는 다른 소재를 발굴하려고 한다. 이 부분에 한국에서 대중화된 멜로, 복수극의 소재를 발굴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셀레나 셴 이사는 "더 많은 협력파트너들과 개방적인 태도로 제작 더 수준을 높이고 세계화시키고자 한다. 우수한 감독과 배우과 협력하고 싶다. 한국에서 협력 회사를 만들어 더 좋은 IP를 전 세계에 소개하고 싶다"고 희망했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