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위험 관리 차원" 발언 후 월가 '비둘기파 vs 매파' 혼돈
금리 인하에도 내년 경로는 오리무중…주식·채권시장 변동성 확대
파월-트럼프 줄다리기 지속으로 불확실성 증대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는 예상대로 인하됐지만 시장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메시지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내년 금리 경로는 어떻게 될지 더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이다.
17일(현지시간) 연준은 기준금리를 4.00~4.25%로 0.25%포인트(=25bp) 내렸다. 분기마다 발표되는 경제전망요약(SEP)에서 연준 위원들이 제시한 올해 말 기준금리 중간값은 3.6%를 나타내 연내 2차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같은 전망대로라면 연준은 올해 남은 2번(10월과 12월)의 회의에서 모두 금리를 25bp씩 내리게 된다.
기다렸던 금리 인하 발표에 간밤 뉴욕 증시는 즉각 오름세를 보였지만, 이날의 결정이 "리스크 관리 차원의 금리 인하"라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발언이 나오면서 주요 지수는 방향을 바꾸기 시작했다.
등락을 반복하던 S&P 500은 하락세로 마감했다. 소형주 러셀 2000 지수는 낮은 금리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에도 불구하고, 장중 최고점보다 많이 낮은 수준에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도 하락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상승 마감했다.
이러한 시장 반응을 두고 마켓워치는 투자자들이 차입 비용이 낮아진 것에 대한 기대감과 노동시장에 대한 우려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투자전문매체 배런스는 "소원을 이루긴 했지만 마치 차를 쫓는 개처럼, 월가는 마침내 금리 인하를 받았음에도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몰랐다"고 전했다.
뉴욕증시 주요지수의 엇갈린 움직임과 달리 미 국채 10년물 금리와 달러 지수(DXY)는 반등했다. 노스라이트 최고투자책임자(CIO) 크리스 자카렐리는 연준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 금리 인하 기대를 높이면서 채권 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연준의 다음 정책회의는 10월 28일에 시작될 예정이다. 이후 12월에도 한 차례 회의가 예정되어 있다.
![]() |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거래 중인 가운데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기자회견 화면이 보인다.[사진=로이터 뉴스핌] |
◆ '비둘기 vs. 매' 혼돈에 빠진 월가
월가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내놓으면서도, 향후 금리 경로에 관한 명확한 메시지가 부족했다는 데에는 한목소리를 냈다.
모간스탠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게이펀은 이번 결과에 대해 "전반적으로 비둘기파적 신호"라고 평가했고, 스파르탄 캐피털 시큐리티즈 수석 시장 이코노미스트 피터 카르딜로도 "이번 성명은 비둘기파적이다. 점도표는 올해 75bp 인하를 가리킨다"고 말했다.
올스프링 글로벌 인베스트먼트 채권 전략가 조지 보리는 "연준은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 기조를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시장의 추가 인하 기대는 지나치게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웰링턴 매니지먼트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 브리즈 쿠라나는 "(다른 정책위원들의 동참 없이) 스티븐 미란 이사 혼자서 50bp 인하를 주장했다"면서 "이는 시장 예상보다 전반적으로 매파적 결과"라고 평가했다.
MAI 캐피털 매니지먼트 수석 시장전략가 크리스 그리산티는 "이번 발표는 온건한 긍정 신호다. 연준은 인플레이션 못지않게 실업을 우려하고 있다. 금리 인하는 예상대로였지만, 향후 금리 경로를 둘러싼 점도표 격차가 커져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F.L. 푸트남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수석 시장전략가 엘렌 헤이즌은 "연준은 고용시장 위험이 커졌다고 명시했다. 이는 고용 둔화 우려를 더 크게 반영하겠다는 의미다. 동시에 행정부 압박을 무마하기 위한 정치적 메시지로도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르네상스매크로 경제 책임자 닐 두타는 마켓워치에 보낸 논평서 "내년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다. 연준은 2026년 명목 성장률이 더 높고 실업률이 낮으며 금리 인하가 한 번뿐일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 점은 다소 일관성이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올해 나머지 기간 동안 2회 이하 금리 인하를 예상한 위원도 9명이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애넥스 웰스 매니지먼트 수석 이코노미스트 브라이언 제이콥슨은 "연준이 2028년까지의 전망을 새로 제시했는데, 2027년에 목표치에 복귀하고 2028년은 유지하는 그림"이라면서 "성장률은 예상보다 견조하고, 물가는 다소 낮으며, 고용은 예상보다 빨리 둔화되고 있다. 이는 위기 모드가 아니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자카렐리는 파월 의장이 노동시장 약화에 주목하게 된 이유를 "상세하고 논리적인 설명(detailed and logical)"이라고 평가했지만, 연준의 최신 경제 전망치는 메시지를 다소 혼란스럽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사진=로이터 뉴스핌] |
◆ 끝나지 않은 '트럼프-파월' 줄다리기에 변동성 커질 듯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 간 대립이 지속될 것이며, 연준 관련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시장 변동성은 더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이번 금리 인하가 둔화되는 고용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중앙은행 공격을 멈추게 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연준의 경제 전망표에서 한 명의 위원이 다음 두 차례 회의에서도 대폭적인 금리 인하를 지지할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해당 위원이 트럼프의 최측근인 미란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회의에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적으로 매우 정통한 분이고, 거의 모든 국면에서 올바른 판단을 해왔다고 생각한다"며 "문제는 연준이 항상 뒤처졌다는 것이다. 연준이 보다 적극적으로 따라잡기를 기대한다"면서 막판까지 연준 압박을 멈추지 않았다.
브랜디와인 글로벌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잭 맥킨타이어는 "향후 1년 동안 몇 차례 금리 인하가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투자자들이 더 큰 변동성을 경험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말했다.
맥킨타이어는 FOMC 종료 후 마켓워치에 보낸 논평에서 "2026년 연준의 정책 전망에는 상당한 의견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내년 금융시장에서 더 큰 변동성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제 우리는 다시 데이터 중심으로 판단을 해야 하고, 그 시작은 내일 발표될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라고 강조했다.
시버트 파이낸셜 CIO 마크 말렉은 이번 움직임이 예상된 흐름이었다면서 "다만 반대 의견이 나온 것은 시장이 더 크게 반응할 수 있는 요소"라고 짚었다. 또 시장이 발표 직후 매도세를 보였는데, 이는 지나치게 낙관적 기대가 선반영된 결과로 "이번 인하가 새로운 고점을 정당화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앤젤레스 인베스트먼트 CIO 마이클 로젠은 "미국 경제는 현재 무역·이민 정책 제약으로 인한 성장 둔화와 3% 안팎의 고착화된 인플레이션이 겹친 '약한 스태그플레이션'을 겪고 있다"면서 "1970년대와는 다르지만, 주식·채권 수익률 전망은 보수적으로 가져가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 달러 자산의 10년간 독주 이후, 투자자들은 지리적·통화·섹터별 다각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S뱅크 투자등급 채권 세일즈·트레이딩 총괄 블레어 슈웨는 "연준은 가장 가능성이 높았던 25bp 인하를 선택했고, 시장은 올해 두 차례 추가 인하 전망에 초점을 맞췄다"면서 "이는 전반적으로 위험자산에 긍정적이며, 기업 채권 발행시장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PGIM 채권 글로벌 전략가 로버트 팁 역시 "균형 잡힌 인하로, 인플레이션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성장에 힘을 실었다"면서 "채권 강세장이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