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마비에 국민 불편
교통·물류·항공 및 부동산 서비스 차질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지난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 70개 시스템이 마비되면서 철도·버스·항공·택시 등 교통 분야와 물류 시스템 일부에서 장애가 발생했다. 정부는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공 탑승 신분확인 인정 범위를 확대하고 할인 승차권 이용 시 실물증명서류 지참을 당부하는 등 긴급 조치에 나섰다.
![]() |
정정래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직무대행(사진 왼쪽에서 두 번째)가 27일 오전 철도IT센터에서 무정전전원장치(UPS)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코레일] |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우체국 체크카드 결제, 다자녀·국가유공자·장애인 할인 신규 신청 등 버스·철도 분야 일부 서비스 접속이 일시 중단됐다.
항공기 탑승 시 모바일 신분증 확인, 택시운수종사자 관리시스템(기사 자격 신청·등록·자격증 발급) 및 자동차365 누리집 민원, 화물운송실적관리시스템·국가물류통합정보시스템 등도 이용이 어렵다. 철도, 버스 등 할인 승차권 예·발매 및 항공편 탑승 시 실물 신분증 등의 증명서류를 지참해야 한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 시까지 항공기 탑승을 위한 신분 확인 인정 범위를 확대 운영할 계획입니다.
다만 민간 택배사의 배송에는 영향이 없다.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는 물류동향과 통계정보를 제공하고, 화물운송실적관리시스템은 운송사의 의무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매년 실적을 등록하는 시스템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실적은 2026년 6월까지 등록·수정이 가능해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국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스템 정상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철도 이용객 불편을 막기 위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코레일톡'과 홈페이지에 정부시스템 관련 안내문을 게시했다. '정부24'와 연계된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 인증 만료 기한을 긴급 연장했다. 신규 인증이 필요한 장애인과 국가유공자도 역 창구에서 등록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행정안전부 국민신문고·안전신문고 등에서 이관된 민원 처리 지연이 예상됨에 따라 민원인들의 양해를 구하고 있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이날 서울사옥 철도IT운영센터를 찾아 무정전전원장치(UPS) 등을 긴급 점검하고 이번 화재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철저한 대응을 당부했다.
이번 화재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이 멈추면서 토지(임야)대장, 공유지연명부, 대지권 등록부, 지적(임야)도, 경계점좌표등록부, 부동산종합증명서 등 8종 민원서류의 온라인 발급·열람도 중지됐다.
토지대장을 포함한 모든 서류는 평일 근무시간(오전 9시~오후 6시) 동안 가까운 시·군·구청이나 주민센터에서 전국 단위 지적공부를 발급받을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가 중단돼 관공서 방문 시에는 실물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정부는 시·도 일사편리 홈페이지와 시·군·구 담당부서를 통해 긴급 안내 메시지를 전파하는 한편, 일사편리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화재는 전날 오후 8시 15분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했다. 화재 원인은 전기 설비 작업 도중 폭발한 리튬 배터리로 추정된다. 전산실 내부엔 리튬 배터리 약 200개가 쌓여 있어 진화에 시간이 걸린 것으로 파악됐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