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실 1관 3과 신설...고용평등정책관 신설
'남성 차별' 대책 관련 성형평성기획과 담당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여성가족부(여가부)가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돼 출범한다.
여가부는 30일 성평등 정책 컨트롤 기능 강화와 고용 평등 및 폭력 대응 기능과 연계해 종합적으로 성평등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한다고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김권영 여성가족부 정책기획관(가운데)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 관련 사후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9.30. gdlee@newspim.com |
여가부에 따르면 이번 조직 개편으로 총 1실 1관 3과가 신설됐고 총 17명이 증원됐다. 주요 내용은 ▲성평등정책실 신설 ▲여성정책국 성평등정책관으로 개편 및 고용평등정책관 신설 ▲기존 여성 정책과 성평등 정책과로 개편 ▲고용평등정책관 신설 및 고용평등총괄과 신설 ▲권익 증진국은 성평등정책실 소속 안전인권정책관으로 개편이다.
약칭은 성평등부로 정해졌다. 원민경 여가부 장관은 초대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된다. 다음달 1일 출범한다.
또 여성 청년과 남성 청년 간의 차별 인식 격차에 대한 사례를 발굴, 의제화해 정책을 추진하는 일을 한다. 이는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6월 국무회의에서 남성차별 대책을 점검하라고 지시한 것과 관련해 신설된 성형평성기획과가 담당한다.
고용부의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성별임금공시 관련 기업 제재 권한은 여가부로 이관될 예정이다.
또 가정폭력스토킹 방지과에서 교제 폭력 업무까지 담당하고 있던 것과 관련해 이를 포괄한 형태인 친밀관계폭력방지과로 부서 명칭이 변경됐다.
조직 명칭에서 여성이 빠지는 것과 관련해 김권영 정책기회관은 "성별 차별을 완화시키고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기 위해 기존의 여가부 명칭은 한계가 있다고 보고 변경한 것"이라고 밝혔다.
양성평등 용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기존 양성평등이라는 말은 두개를 양분해 대립적으로 구분했기 때문에 갈등을 야기시키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남성 차별'과 관련해 이금순 여성정책과장은 "성평등가족부가 돼도 여성이 구조적 차별을 받는 부분이 있으니 거기에 주력하겠지만 남성이 차별을 느끼면 같이 고민하고 대책도 고민해보라고 말씀하신 것"이라며 "정책 이관 확대 외에 방향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26일 이재명 정부의 첫 정부조직 개편안을 담은 '정부조직법 일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여성가족부는 '성평등가족부'로 개편되고, 고용노동부의 여성고용정책과가 이관되는 내용이 포함됐다.
gdy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