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세계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1일(현지 시간) 러시아산 석유를 구매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무역 제재 도입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G7 재무장관들은 이날 구체적인 국가 이름은 거론하지 않았지만 러시아산 석유를 구매하는 국가에 대한 '제3자 제재'는 사실상 중국과 인도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G7은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 7개국이다.
![]() |
지난 2022년 11월 3일 독일 뮌스터에서 G7 외무장관 실무회의가 열린 가운데 회의장에 참여국의 국기들이 게양돼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재무장관들은 이날 화상으로 회의를 개최한 뒤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지금이야말로 우크라이나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을 근본적으로 약화시키기 위한 중대한 공동 조치를 취할 때라고 믿는다"며 그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함께 행동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재무장관들은 "러시아의 주요 수익원인 석유 수출에 최대한 압박을 가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데 동의했다"며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늘리고 있는 자들, 그리고 이를 우회·지원하는 자들을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수익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에서 관세 및 수출입 금지와 같은 무역 조치의 중요성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재무장관들은 최근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러시아 동결 자산의 활용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우크라이나의 재정 수요를 충족하고 러시아가 지구전을 통해 버티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폭넓은 옵션을 개발 중"이라며 "그중에는 우리 관할권 내에 동결된 러시아 국가자산(RSAs) 전액을 전쟁 종식과 우크라이나의 공정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조정된 방식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고 했다.
다만 이 조치가 각국의 법적 체계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