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진·코난테크놀로지·콘텔라·플랙토리와 MOU 체결
상용망 800MHz 등 저주파수 활용해 전파 도달거리·회절성 개선
드론 간 핸드오버 기술 적용…격추 상황에도 통신 지속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군 드론 작전 반경을 넓히기 위해 상용망 기반 통신 기술을 접목한 '통신 중계 드론' 개발에 나섰다. 펀진·코난테크놀로지·콘텔라·플랙토리 등 4개사와 손잡고 군 통신망의 한계를 보완한다는 구상이다.
15일 SK텔레콤은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와 군용 통신 중계 드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서울 남산 사옥에서 열렸으며, 나경환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솔루션본부장, 김정훈 펀진 사업전략본부장, 김규훈 코난테크놀로지 국방AI사업부장, 김태연 콘텔라 MTS사업부문장, 김태훈 플랙토리 대표 등이 참석했다.
통신 중계 드론은 전투 및 정찰 드론이 통신 음영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작전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군은 이음 5G 기반 고주파 대역을 활용하고 있으나, 전파 특성상 도달 거리와 회절성이 제한돼 작전 반경이 좁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 |
왼쪽부터 나경환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솔루션본부장, 김정훈 펀진 사업전략본부장, 김규훈 코난테크놀로지 국방AI사업부장, 김태연 콘텔라 MTS사업부문장, 김태훈 플랙토리 대표. [사진=SK텔레콤] |
이번 협약을 통해 개발되는 드론은 상용망의 800MHz 등 저주파수를 활용해 전파 도달 거리를 확대하고, 산악·도심 등 장애물이 많은 환경에서도 통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중계 드론 간 '핸드오버(handover)' 기술을 적용해 복수의 드론이 교대로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한다. 한 대가 격추되거나 작동이 중단돼도 다른 드론이 즉시 통신을 이어받아 작전이 끊기지 않는다.
참여 기업들은 각자의 기술 분야를 담당한다. SK텔레콤은 무선 회선과 핸드오버 기술, 실시간 영상 관제를 맡는다. 국방 버티컬 AI 전문기업 펀진은 무선 품질 측정과 AI 분석 기술을, 코난테크놀로지는 엣지 전술 장비 협력을 담당한다. 콘텔라는 위성통신 기반 이동기지국을, 플랙토리는 미니 PC 기반 이음 5G 코어(core) 및 통신 장비를 지원한다.
SK텔레콤은 플랙토리와 2022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과제를 통해 이음 5G 장비 솔루션을 확보했으며, 펀진은 드론 무선 품질 측정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코난테크놀로지는 군 화력 운용 시스템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며, 콘텔라는 지난해 산림청 과제를 통해 위성 통신 기반 이동기지국 기술을 확보했다.
김경덕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사업부장은 "각 사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결합해 군 통신 중계 드론을 구현하면 드론 작전 반경이 획기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상용망 기술을 국방 영역에 접목해 통신 효율성과 작전 안정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