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강원·경남·전남·전북 등 연안정비사업 실집행률 부진…전국 평균 58% 밑돌아
정 의원 "연안침식 피해 방지위한 정비사업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추진해야"
[경북동해안=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권을 포함 전국의 연안침식 지역 364 개소 중 40%에 달하는 148 개소가 침식으로 인한 재해 발생 우려가 있는 '우려·심각 지역'인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정희용 의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경북 고령.성주.칠곡군,국민의힘)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2024 년 연안침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인 전국 364 개 해안지역 중 연안침식 평가등급에서 C등급(우려)과 D등급(심각)으로 분류된 지역은 148 개소로 전체의 40.7% 를 차지했다.
![]() |
정희용 의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경북 고령.성주.칠곡군,국민의힘)[사진=정희용의원실]2025.10.15 nulcheon@newspim.com |
'우려·심각지역'은 침식으로 인해 백사장과 배후지의 재해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향후 백사장 침식과 배후지 피해 방지위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역별 '우려·심각지역' 비율을 보면 ▲강원이 64.7% 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 경북(54.5%) ▲ 제주 (50.0%) ▲ 충남(45.2%) ▲ 부산(33.3%) ▲ 전남(27.8%) ▲ 울산·경기(20.0%) ▲ 인천(13.3%) ▲ 경남 (10.5%) ▲ 전북(9.1%) 순으로 나타났다.
'우려·심각 지역' 비율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경북의 경우, 조사 대상인 44 개소 중 24 개소가 '우려·심각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A등급(양호) 지역은 1 개소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함께 일부 지자체들의 경우 연안정비사업의 예산 실집행률도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지자체별 연안정비사업 실집행률을 보면 ▲ 경기(21.8%) ▲ 강원(25.9%) ▲ 경남(46.7%) ▲ 전남(51.1%) ▲ 전북(56.4%) 등이 전국 평균인 58.1% 수준을 밑돌았다. 이들 지자체는 사업 추진이 지연되면서 예산 집행도 차질을 빚는 상황이라고 정 의원은 지적했다.
정희용 의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침식이 계속 심화되고 있다"며 "해수부는 연안침식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안정비 사업을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