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 종료 임박… 시장 불확실성 완화 기대
IRS, 스테이킹 허용… 제도권 진입 가속
연말 '산타 랠리' 기대감 확산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비트코인 가격이 11일 10만5300달러까지 밀리며 다시 매도 압력을 받고 있다. 앞서 매수세가 10만7250달러선을 돌파하지 못한 채 되돌려진 영향이다. 이 가격대는 수 주간 이어졌던 횡보 구간의 하단이자 이달 초 하락 돌파(bearish breakdown)가 일어났던 핵심 지점이다.
한국 시간 오후 9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에 비해 0.63% 하락한 10만 5284달러, 이더리움 가격은 0.54% 내린 3573달러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솔라나(SOL), XRP, BNB 등 주요 알트 코인도 1~3% 대 내림세다.
미 정부의 셧다운 사태가 사실상 막바지에 접어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소득층을 제외한 모든 이에게 최소 2000달러(약 286만원)의 배당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은 셧다운 종료에 따른 급등분을 대부분 반납하며 기술적으로 약세 신호를 보이고 있다.
![]() |
| 비트코인 가격 차트, 자료= 야후 파이낸스, 2025.11.11 koinwon@newspim.com |
◆ 비트코인·이더리움 '기술적 약세' 신호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비트코인이 기술적으로 '데드크로스'에 근접했다고 전했다. 단기 50일 단순이동평균선(SMA)이 장기 200일선을 하향 돌파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일반적으로 이는 장기 약세장 전환 신호로 해석된다. 다만 2023년 9월, 2024년 8월, 2025년 4월에도 세 차례 비슷한 '가짜 신호(false bearish signal)'가 발생한 바 있어, 이번에도 실제 추세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현재 시장의 초점은 10만달러 지지선 방어 여부에 맞춰져 있으며, 해당 수준이 무너지면 추가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더리움(ETH)도 이날 앞서 3646달러 저항 돌파를 시도했으나 실패하면서 급락세로 전환됐다. 거래량은 평소보다 138% 급증한 33만8852건으로, 단기 약세세력이 주도권을 쥐고 있음을 보여준다.
3590달러 지지선이 무너진 뒤 ETH는 일중 3532달러까지 밀렸다가 3560달러 부근에서 안정세를 되찾았다. 그러나 기술적으로는 낮은 고점이 이어지는 약세 구조가 완성된 상태다. 리퍼블릭 테크놀로지스의 1억달러 매수, 비트마인의 350만개 보유분도 하락세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단기 지지 구간은 3510~3530달러, 저항선은 3590달러로 재설정됐다.
◆ 셧다운 종료 임박… 시장 불확실성 완화 기대
미국 정부 셧다운 사태는 사실상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예측시장 폴리마켓은 11월 12~15일 사이 예산안이 통과될 확률을 96%로 추산했다. 상원에서 60대 40으로 예산안이 통과된 만큼, 정부 재개는 14일 전후로 예상된다.
합의안에는 연방 공무원 복귀, 임금 소급 지급, 식량 지원 재개 등이 포함됐으나 의료보험 보조금(ACA) 연장 여부는 12월 표결로 미뤄졌다. 정치권은 여전히 셧다운 책임 공방을 이어가며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폴리마켓에 따르면 공화당이 상원을 유지하되 하원을 잃을 확률은 44%로, 유권자들이 양당 모두에 책임을 묻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 트럼프의 '관세 배당금'… 새 유동성 변수 부상
한편 시장에서는 도트럼프 대통령의 '2000달러 관세 배당금(tariff dividend)' 지급안이 새로운 유동성 촉진책이 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시그널플러스의 어거스틴 판 리서치 책임자는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당시 현금 부양책을 연상시킨다"며 "50년 만기 초장기 모기지 제도와 결합돼 위험자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 IRS, 스테이킹 허용… 제도권 진입 가속
미국 국세청(IRS)은 암호화폐 상장지수상품(ETP)이 투자자와 스테이킹 보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 지침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투자신탁의 세법상 지위를 유지한 채 스테이킹이 가능하다"고 명시해, 펀드 운용사들의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번 조치로 미국이 암호화폐 기술의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컨센시스의 빌 휴즈 법률 고문은 "규제된 기관들이 투자자 대신 스테이킹을 수행할 수 있게 돼 참여율, 유동성, 네트워크 분산도가 모두 높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 연말 '산타 랠리' 기대감 확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10월 약세가 오히려 연말 반등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 8년 중 6번의 12월을 상승 마감했으며, 상승 폭은 8~46%에 달했다.
LVRG 리서치의 닉 럭 이사는 "공포 매도에서 장기 보유자의 전략적 매집으로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며 "(12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와 기관투자자 유입이 결합되면 강한 산타 랠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타 랠리'는 연말 낙관론과 휴가철 얇은 거래량이 맞물리며 가격이 급등하는 계절적 현상이다. 투자심리와 세금 정산, 포트폴리오 조정 등 요인이 복합 작용하며,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새해 유동성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여겨진다.
시장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10만달러 지지선을 지켜낸다면 12월 '산타 랠리'가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데드크로스 경고와 거래량 패턴을 감안할 때 단기 조정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koinw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