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3770명 아동 지원·151대 운영
2주간 나눔위크에 임직원 8.8만명 참여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이 임직원 일상 속 기부문화를 확산해 온 '나눔키오스크'가 올해로 10년을 맞으며 누적 112억 원 기부, 3770명 아동·청소년 지원 등 그룹의 대표 CSR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 후 강조해 온 '동행' 기조와 사회적 책임 강화 흐름이 더해지면서, 나눔키오스크는 최근 몇 년 사이 그룹 차원의 상생 활동을 상징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나눔키오스크 10년, 임직원 기부를 '일상화'
삼성은 13일 삼성전자 수원 디지털시티 디지털홀에서 나눔키오스크 10주년을 기념하는 '2025 나눔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2015년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에서 시작된 나눔키오스크는 사원증을 단말기에 태깅하면 1000원이 기부되는 임직원 참여형 소액 기부 플랫폼이다. 사업장 내 구내식당, 휴게 공간, 산책길 등 직원들이 자주 지나는 주요 동선 곳곳에 설치하며 '작고 가벼운 기부'를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여냈다. 현재는 삼성 23개 관계사에서 국내 108대, 해외 43대 등 총 151대를 운영하고 있다.
![]() |
|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사업장 내 설치된 나눔키오스크에 사원증을 태깅하여 기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
이 같은 참여 기반은 지난 10년간 꾸준한 기부 성과로 이어져 총 112억 원이 모였고, 희귀질환·장애·질병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아동·청소년 3770명을 지원하는 데 활용됐다.
◆ 2주간 '나눔위크'…임직원 8만8000명 참여
나눔키오스크 10주년을 맞아 삼성은 지난 3일부터 2주간 '2025 나눔위크'를 운영하며 임직원 참여를 보다 폭넓게 이끌어냈다. 관계사 23곳에서 총 8만8000여 명(국내 기준)의 임직원이 ▲나눔키오스크 기부 ▲지역사회 봉사 ▲헌혈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눔에 동참했다.
특히 나눔키오스크는 기간 중 특별 모금 방식으로 전환돼, 10일간 총 20명의 아동을 집중 지원했다. 이 기간 임직원 태깅을 통한 기부액은 3억 원 규모로 집계됐다.
![]() |
|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지난 5일 사업장 인근에서 식목 봉사를 진행했다. [사진=삼성전자] |
![]() |
|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1지난 6일 유기견 보호소를 찾아 산책, 견사 청소 등 봉사를 진행했다. [사진=삼성전자] |
지역사회 봉사 참여도 활발했다. 복지시설 지원, 공원·하천 환경정화, 유기견 보호소 청소, 국립서울현충원 묘역 관리, 청소년 멘토링 등 각 사업장 인근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한 활동이 이어졌다. 여기에 3600여 명의 임직원이 헌혈 캠페인에 참여했고, 삼성은 올해도 대한적십자사에 헌혈버스 4대를 기증하며 사회안전망 강화에 힘을 보탰다.
◆ 기부약정·아너스클럽 운영…지속 가능한 나눔 설계
삼성은 단기 이벤트에 그치지 않는 꾸준한 기부문화를 만들기 위해 '기부약정' 제도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임직원이 사내 인트라넷에서 희망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월 기부액을 설정하면, 회사가 동일한 금액을 1대1로 매칭해 출연하는 방식이다. 지난 10월 기준 삼성전자 임직원 7만2000여 명이 기부약정에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매월 30만 원 이상을 5년 연속 기부한 임직원을 예우하는 '아너스클럽'도 도입했다. 올해 신규 등재자는 3명으로, 총 9명이 이름을 올렸다. 아너스클럽 멤버에게는 기념패가 수여되고 회사 주관 문화예술 공연 초청 등 우대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 |
| 전영현 대표이사 등 삼성전자 DS부문 경영진들이 지난 10일 경기 용인시 장애인표준사업장 '희망별숲'을 찾아 쿠키 만들기 봉사에 참여했다. [사진=삼성전자] |
삼성은 '함께가요 미래로! Enabling People'을 CSR 비전으로 내세우며 청소년 역량 강화와 상생협력을 중심에 둔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삼성청년SW·AI아카데미 ▲삼성희망디딤돌 ▲삼성드림클래스 ▲삼성푸른코끼리 ▲기능올림픽 기술교육 등이 있다.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전환 지원 ▲C랩 인사이드·아웃사이드 ▲상생·ESG펀드 조성 ▲협력회사 인센티브 지급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등 파트너십 기반의 상생 모델도 강화하고 있다.
kji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