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第五届中韩未来经济合作论坛"13日在首尔举行 聚焦科技与产业合作

기사입력 : 2025년11월14일 08:07

최종수정 : 2025년11월14일 08:11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纽斯频通讯社首尔11月14日电 亚太经合组织(APEC)第三十二次领导人非正式会议日前在韩国庆州圆满落幕。为落实中韩领导人会谈成果、深化战略合作,"第五届中韩未来经济合作论坛"13日下午在首尔中国建设银行大会议厅举行。

本届论坛以"中韩共启技术自立时代新蓝海"为主题,重点探讨两国在人工智能(AI)、机器人、生物医药、化妆品及金融投资等新兴领域的合作前景。来自中韩两国政府机构、专家学者和企业代表齐聚一堂,共同探讨在全球科技竞争与产业重构背景下的中韩合作新路径。

《亚洲日报》社长梁圭铉在第五届中韩未来经济合作论坛上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亚洲日报》社长梁圭铉在开幕致辞中表示,自中韩建交以来,双方经贸往来成果丰硕,合作领域不断拓展,互利共赢的伙伴关系展现出强劲活力。面对科技自立时代的全球趋势,两国应在竞争与合作中寻求平衡,通过创新开创新的共赢格局。同时,他指出,尽管部分高科技领域存在竞争,但中韩仍可在碳中和、数字转型、生命科学及人文交流等领域寻找合作的"蓝区",共同开辟新的增长空间,实现互利共荣。

中国驻韩国大使戴兵在第五届中韩未来经济合作论坛上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中国驻韩国大使戴兵在欢迎词中强调,中韩两国是搬不走的近邻,更是分不开的合作伙伴。建交33年来,两国经济关系高度互嵌,双边贸易额已超过3000亿美元,互利共赢的格局不断深化。习近平主席与李在明总统在不久前的会晤中,就科技、经贸、金融等领域达成一系列重要共识,为两国合作注入新动能。他呼吁,中韩应深化相互认知,深挖合作潜力,排除外部干扰,在人工智能、生物医药、绿色产业等新兴领域展开高水平合作,推动两国关系迈上新台阶。

前国会副议长郑宇泽在第五届中韩未来经济合作论坛上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韩国国会副议长、国民力量党议员朱豪英在书面贺词中表示,全球供应链重组和技术竞争加剧,中韩关系迎来新的挑战与机遇。两国应在理性认知基础上寻找建设性合作"蓝海",以开放与合作精神推动经济共荣。他指出,"合作之门易关难开",希望论坛成为两国增进理解、凝聚智慧的重要平台。

前国会副议长郑宇泽在贺词中表示,当前中国科技正不断创新发展,中韩两国在建设、制造及科技领域的合作正迎来新的机遇。我们将持续推出相关政策,积极推动两国在更多领域深化协作。

前国会议员金椿镇在贺词中指出,在技术与资金领域,中韩两国若以合作取代竞争,将能实现更大的共同利益。我们将继续为增进互信与合作而努力,并感谢《亚洲日报》及中国驻韩大使馆为促进两国交流所作出的贡献。

与会嘉宾合影留念。【图片=记者 周钰涵 摄】

论坛设有主旨演讲及三大议程。在主旨演讲环节,广东省机器人协会执行会长任玉桐与韩国贸易投资振兴公社(KOTRA)全球研究院院长洪彰杓围绕"中韩技术合作与竞争新模式"发表演讲,提出加强人工智能与机器人产业协作、构建新型产业生态体系的建设性建议。

在议程讨论环节,第一议程聚焦人工智能与机器人,嘉宾围绕具身智能机器人产业化、AI协作型未来工作环境及"物理AI"新趋势,分析两国在智能制造与AI伦理领域的合作前景。第二议程聚焦生物医药与化妆品产业,专家探讨中韩在研发、创新及国际化方面的优势与合作机会,推动产业可持续发展。第三议程关注金融与投资合作,双方就货币互换、跨境投融资及联合私募基金建设交换意见,剖析新机遇并提出深化协作方向。

本届论坛的成功举办,不仅为中韩两国在科技创新与产业协同领域搭建了新的交流平台,也为两国在全球经济格局重塑中的合作共赢注入了新的动力。

另外,活动由亚洲新闻集团旗下《亚洲日报》、中国驻韩国大使馆和亚洲新闻集团联合主办。(完)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검란'에도 李대통령 지지율 60% 돌파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60%를 회복하는 등 고공 행진을 계속했다.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논란에도 상승세를 이어 갔다. 정상 외교 성과와 주가 급등 등 호재가 일단 '검란 악재'를 덮은 형국이다. 곧 발표될 관세 협상 팩트시트 내용과 주가 추이, 검란 파동이 향후 지지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한중 정상회담과 관세 협상 타결 등의 '이벤트 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54%→63%)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1차 남북정상회담(73%→83%)에 따른 지지율 반등과 닮은꼴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9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11.12 photo@newspim.com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0일~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3일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은 61%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주 전보다 5%포인트(p) 오른 것이다. 부정적 평가는 6%p 하락한 29%였다. '모름·무응답'은 10%였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난 9월 1주 조사에서 62%를 기록한 뒤 9월 3주(59%), 10월 1주(57%), 10월 3주(56%), 10월 5주(56%) 등 주춤했다가 약 두 달 만에 60%대에 재진입했다. 한국갤럽의 지난주 조사와 비슷한 흐름이다. 한국갤럽이 4∼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가상 번호를 이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해 7일 발표한 조사 결과,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63%, 부정 평가는 29%로 나타났다. 긍정 평가는 지난주보다 6%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 평가는 4%p 떨어졌다. '잘 모름' 또는 의견 유보는 8%였다. 긍정 평가의 주요 요인으로는 '외교'(30%), '경제·민생'(13%)이 꼽혔다. 정상 외교와 주가 급등이 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부정 평가 요인으로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4%)와 '외교'(11%)가 지적됐다. 재판 중지법 추진 논란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정당 지지도는 NBS에서 더불어민주당이 42%로 국민의힘(21%)보다 두 배 높았다. 이어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3%, 진보당 1% 등의 순이었다. 민주당은 3%p 올랐고 국민의힘은 4%p 떨어졌다.  한국갤럽 조사서 민주당 40%, 국민의힘 26%로 나타났다. 지난주 조사에 비해 민주당은 1%p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같았다.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은 각각 4%, 진보당은 1%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 응답률은 12.7%다.  NBS에서 정부의 돈 풀기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높았다. 재정 운용 기조와 관련해 '국가 재정이 안 좋으므로 긴축 재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0%로, '민간 경제가 안 좋으므로 확장 재정이 필요하다'(38%)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종 정책을 더 잘 추진할 정당을 물은 결과 부동산 정책을 제외한 모든 정책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압도했다. 복지 정책(민주 54%·국힘 17%), 외교·통상 정책(민주 53%·국힘 23%), 남북 관계 및 안보 정책(민주 50%·국힘 25%), 고용 정책(민주 46%·국힘 18%), 양극화 해소 정책(민주 44%·국힘 18%) 등에서 민주당이 크게 앞섰다. 집값 급등으로 초강경 대책을 내놓은 부동산 정책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민주당이 34%로 국민의힘(26%)과의 격차가 확 줄었다. 이 조사는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14.8%였다. 두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은 대통령 지지율과 민주당 지지율이 동반 상승한 것이다. 대통령 지지율이 급등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오히려 하락한 '디커플링' 현상에서 벗어난 모양새다. 향후 지지율에 영향을 미칠 최대 변수는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이에 따른 검란 파장이다. leejc@newspim.com 2025-11-13 12:22
사진
트럼프, 임시예산안 서명...셧다운 '종료'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 의회를 통과한 단기 지출법안(CR·임시 예산안) 패키지에 서명했다. 이로써 미국 역사상 최장 기간 이어졌던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 중단)이 공식 종료됐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지출법안에 공식 서명했다. 앞서 하원은 본회의 표결을 통해 임시 예산안 패키지를 찬성 222표, 반대 209표로 통과시켰고, 대통령 서명까지 마무리돼 지난달 1일부터 43일간 지속된 사상 최장 셧다운은 공식 종료됐다. 이번 패키지에는 공화당과 민주당이 초당적으로 합의한 농무부, 식품의약국(FDA), 재향군인부, 군용 건설 프로젝트와 의회 자체의 2026회계연도 예산이 포함됐다. 임시 예산안은 나머지 연방 부처와 기관의 예산을 내년 1월 30일까지 기존 수준으로 연장한다. 이 기간 공화당과 민주당 간 예산 협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추수감사절 여행 성수기까지 약 2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셧다운 종료는 항공 여행에 필수적인 서비스가 회복될 시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수백만 가정에 대한 식품 지원 복구는 가계 예산에도 여유를 줄 수 있으며, 연말 쇼핑 시즌 소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셧다운 기간 동안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투자자, 정책 결정자, 가계 모두 고용시장 상태, 인플레이션 추이, 소비자 지출 및 경제 성장 속도에 대해 거의 알 수 없는 상태였는데, 셧다운 종료로 미국 경제 관련 주요 통계 데이터 역시 복원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가운데)이 12일(현지시간) 셧다운 종료를 위한 예산 법안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kwonjiun@newspim.com 2025-11-13 12:4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