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안보 합의로 한미동맹 새로운 시작점
美와 긴밀 소통해 대북정책 지지 계속 확보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강경화 주미대사는 18일(현지 시간) 한미 간 무역 통상 및 안보 합의가 전격 타결되면서 지금 우리는 한미동맹의 새로운 시작점에 서 있다고 밝혔다. 또 미국 측과 긴밀히 소통해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지지를 계속 확보하고 남북·북미 대화의 여건이 성숙되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이날 워싱턴DC 한국문화원에서 열린 한국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한미 양국이 통상 및 안보 분야 합의 타결을 통해 상호 호혜적인 무역 확대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또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재처리 권한 확대 등 안보 분야에서도 괄목할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난 8월 말과 10월 말 한미 정상회담에 특별수행 등으로 직접 참석하며 한미 정상회담을 가까이서 지켜봤다며 "양국 정상간 돈독한 신뢰와 강력한 협력의 의지는 계속된 한미 관계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강 대사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미 양국이 두 차례의 정상간 만남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긴밀한 공조에 합의하고 대북 소통이 긴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이어 비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방한 기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지 모른다는 기대감에도 결국 북미 정상 간 만남이 성사되지 못했지만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의 여건이 성숙되어 나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미국 측과 긴밀히 소통해 우리 대북 정책에 대한 지지를 계속해서 확보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에 걸림돌이 돼온 비자 제도 개선과 관련해 한미 양국이 상용 방문 및 비자 워킹 그룹을 설치하여 두 차례 회의를 가졌다며 "이를 통해 B1 비자로 가능한 활동을 명확히 하는 한편 주한 미국대사관 내 한국 투자 및 방문 전담 데스크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 전 지역 우리 공관과 미 법 집행 당국 지부 간 접촉 라인을 구축했고 "그 결과 10월부터 우리 기업 파견 인력의 미국 입국이 재개됐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앞으로도 관련 후속 협의를 지원하는 한편 한국인 전문직 기자 쿼터 확보 등 근본적인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강 대사는 특히 미국은 행정부와 의회 외에도 의회·학계·언론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정책 기반과 이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각계와의 소통을 통해 한미동맹 발전을 위한 협조를 확보해 나가는 노력도 매우 중요하다며 공공 외교 활동 확대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 |
| 강경화 주미 대사가 2025년 11월18일 미국 워싱턴 DC 한국문화원에서 워싱턴 특파원단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2025.11.19 dczoomin@newspim.com |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승인한 한국의 핵추진 공격 잠수함(SSN) 건조와 관련해 한미 정상 차원에서 논의가 명확했고 정상 차원에서 추진 의지가 확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우리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관련해 미국 정부 부처 내에서 특별히 이견이 없고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도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했기 때문에 부처 간 이견이 걸림돌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은 이미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핵연료만 확보하면 되는 우리와 잠수함 건조 역량도 갖춰야 하는 호주와 단순 비교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dczoomi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