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11월 20일 오전 07시4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공지능(AI) 번역을 통해 생성된 콘텐츠로 원문은 11월19일 블룸버그통신 기사입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세계 최고 시가총액 기업인 엔비디아(종목코드: NVDA)가 강력한 매출 전망을 제시하며 글로벌 AI 지출 급증세가 꺼질 것이라는 우려를 잠재웠다.
엔비디아는 수요일 발표한 성명에서 1월까지 이어지는 회계 4분기 매출이 약 65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평균 620억달러를 예상했으며, 일부는 750억달러까지 전망하기도 했다.
![]() |
|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 [사진=블룸버그통신] |
이번 전망은 AI 모델 개발에 사용되는 고가의 강력한 칩인 엔비디아의 AI 가속기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하다는 신호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장비에 대한 무분별한 지출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우려에 직면해왔다.
젠슨 황 CEO는 성명에서 "컴퓨팅 수요가 계속 가속화하고 있다"며 "AI가 모든 곳에서 모든 일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약 5% 상승했다. 당일 장 마감까지 연초 대비 39% 올랐다.
엔비디아 실적은 AI 산업 건전성의 바로미터가 됐으며, 이번 소식은 관련 주식들을 일제히 끌어올렸다. AI 컴퓨팅 제공업체 코어위브는 시간외 거래에서 10% 넘게 상승했다. 동종업체인 네비우스 그룹도 8% 넘게 올랐다.
잭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브라이언 멀버리 선임 고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메모에서 "시장은 AI 모멘텀에 둔화가 없다는 소식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회사는 엔비디아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엔비디아 하드웨어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하다"고 말했다.
황 CEO는 AI 거품 우려를 반복적으로 일축하며 지난달 회사가 향후 몇 분기에 걸쳐 5000억달러 초과의 매출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형 데이터센터 소유자들은 AI가 성과를 내기 시작했기 때문에 신규 장비에 계속 지출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10월 26일 마감된 회계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570억달러를 기록했다. 주당순이익은 1.30달러였다. 애널리스트들은 매출 552억달러, 주당순이익 1.26달러를 예상했다.
엔비디아의 주력 데이터센터 부문은 분기 매출 512억달러를 기록해 평균 전망치 493억달러를 상회했다. 한때 회사의 주요 매출원이었던 게이밍 PC용 칩은 43억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평균 전망치는 44억달러였다.
![]() |
| 엔비디아 순이익과 인텔·AMD 매출액 추이 비교 [자료=블룸버그통신] |
이번 분기 전망은 회사의 경이로운 성장세를 반영한다. 매출이 불과 3년 전 같은 기간 대비 약 10배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엔비디아는 오랜 경쟁사인 인텔과 AMD가 보고할 연간 매출보다 더 많은 연간 순이익을 달성할 궤도에 올랐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확장은 도전에 직면해왔다. 미국의 첨단 칩 대중국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는 자사 제품의 거대 시장에서 사실상 퇴출됐다.
황 CEO는 워싱턴에 이 규제를 철회하라고 로비해왔다. 그는 이 규제가 그것이 해결하려는 국가안보 우려에 오히려 역효과를 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가장 엄격한 요소들이 일부 완화된 후에도 엔비디아는 현재 중국에서 AI 가속기 매출을 전혀 예상하지 않고 있다.
일부 투자자들은 엔비디아가 고객들과 체결한 대형 거래의 구조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이 거래들은 오픈AI와 앤스로픽 같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포함해, 이러한 계약이 컴퓨터에 대한 인위적 수요를 창출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번 주 초 엔비디아와 고객사인 마이크로소프트는 앤스로픽에 최대 15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정했다고 밝혔다. 앤스로픽은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300억달러의 컴퓨팅 용량을 구매하기로 약속했으며, 엔비디아 엔지니어들과 칩 및 AI 모델 미세조정 작업을 함께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일부 엔비디아 경쟁사들은 AI 가속기 분야에서 마침내 엔비디아의 지배력에 도전할 수 있다는 낙관론을 키우고 있다. 이달 초 AMD는 자사 AI 칩 사업의 성장 가속을 예고하고 출시 예정 제품에 대한 전망을 높이 평가했다.
AMD, 브로드컴, 퀄컴은 모두 엔비디아 칩의 대형 사용자들과 제휴를 발표했다. 또한 데이터센터 운영업체들은 점점 더 자체 설계 칩 사용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엔비디아 공급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이다.
그러나 황 CEO도 AI 사용을 세계 경제 전반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힘쓰고 있다. CEO는 전 세계를 순회하며 정부 기관과 기업들에 자사 기술 도입을 설득하고 있다.
1993년에 설립된 엔비디아는 컴퓨터 게임용 사실적 이미지 생성에 사용되는 그래픽 칩 시장을 개척했다. AMD는 이 분야에서 유일하게 남은 주요 경쟁사다.
엔비디아는 동일한 칩 아키텍처를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에 적용해 AI 지배력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간의 능력에 필적하고 닮아가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여전히 AI 가속기 칩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기타 서비스 등 다른 제품들을 라인업에 추가해 우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bernard02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