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한 '2025 K-뮤지컬 로드쇼'가 일본 도쿄와 미국 뉴욕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며 한국 창작 뮤지컬의 글로벌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로드쇼는 지난 12일 일본 휴릭홀 도쿄(Hulic Hall Tokyo)에서 열린 'K-뮤지컬 로드쇼 in 도쿄'를 시작으로, 18일 미국 뉴욕 오픈 자 스튜디오(Open Jar Studios)에서 진행된 'K-뮤지컬 로드쇼 on 브로드웨이'까지 두 도시에서 연이어 펼쳐졌다.
'K-뮤지컬 로드쇼'는 2016년 중국 상하이를 시작으로 영국 런던, 미국 뉴욕, 일본 도쿄, 대만 타이페이 등으로 무대를 확장하며 한국 창작 뮤지컬의 해외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 소개된 8개 작품은 지난 6월 개최된 'K-뮤지컬국제마켓' 피칭과 쇼케이스 프로그램을 통해 최종 선정된 작품들이다.
![]() |
| 2025 K-뮤지컬 로드쇼 in 도쿄 '수박수영장' 사진=Ayano Tomozawa] |
◆도쿄 현장 668명 참여… 전석 매진 속 성황리에 마무리
12일 오후 2시 휴릭홀 도쿄(Hulic Hall Tokyo)에서 열린 'K-뮤지컬 로드쇼 in 도쿄'는 총 668명(일반 관객, 관계자 131명 포함)이 참여해 지난 2023년 대비 약 2배의 참여 성과를 기록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특히, 6주 전 시작된 사전 참가 신청이 모두 조기 마감되며 일본 내 K-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 |
| 2025 K-뮤지컬 로드쇼 in 도쿄 '민들레피리' [사진=Ayano Tomozawa] |
본 행사에서는 (주)에이엠컬처의 '수박수영장', (주)엠비제트컴퍼니의 '아나키스트', 레인보우웍스의 '민들레피리', (주)섬으로 간 나비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라이브(주)의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등 총 5개 작품이 한국 배우가 출연하는 오리지널 쇼케이스로 공개되었으며, 각 작품 시연과 질의응답을 통해 현지 창작자와 관계자들에게 한국 창작 뮤지컬의 다양성과 완성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이어진 한·일 뮤지컬 프로듀서 교류회에서는 공동제작 및 라이선스 논의 등 실질적인 협력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미국 브로드웨이 진출을 위한 현지화 쇼케이스 성공적 개최
도쿄에 이어 18일 오후 1시 뉴욕 오픈 자 스튜디오(Open Jar Studios)에서 관계자 대상 비공개 행사로 개최된 'K-뮤지컬 로드쇼 on 브로드웨이' 역시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현지 뮤지컬 관계자 105명이 참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 |
| 2025 K-뮤지컬 로드쇼 on 브로드웨이 [사진=Arden Dickson] |
이번 현장에서는 유한회사 렛미플라이 '렛미플라이', (주)더블케이엔터테인먼트 '랭보', 유한회사 공연제작소작작 '달리, 갈라 기획전' 등 한국 창작 뮤지컬의 다양성을 보여준 3개 작품을 브로드웨이 배우들이 현지화된 낭독 쇼케이스로 선보여 브로드웨이 관계자들의 호평을 이끌어 냈다. 행사 이후 교류회에서는 공동제작, 커뮤니티 공연, 향후 라이선스 논의 등 실질적 협력 방안 탐색이 이어졌다.
특히, 지난해 'K-뮤지컬 로드쇼 in 런던'을 통해 소개된 ㈜피엘종합기획 '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과 유한회사 공연제작소작작 '키키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가 올해 영국에서 현지 후속 개발을 이어가는 등 프로그램을 통한 한국 창작 뮤지컬의 영미권 현지화를 위한 후속 절차가 가시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 |
| 2025 K-뮤지컬 로드쇼 in 도쿄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사진=Ayano Tomozawa] |
◆2026년 글로벌 협업 및 뮤지컬 단계별 지원 강화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내년부터 한국 뮤지컬의 글로벌 협업 및 안정적인 제작 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사업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한국과 미국 창작진의 협업으로 탄생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Maybe Happy Ending)'이 토니상 6관왕을 수상하며 세계적 주목을 받은 만큼, 해외 뮤지컬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K-뮤지컬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단계별 지원사업을 마련하고, '원 아시아 뮤지컬 마켓(One Asia Musical Market)' 실현을 위한 글로벌 협력 기반을 다져 나갈 예정이다.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6년 뮤지컬 지원 사업 세부 내용은 12월 12일 오후 1시 아트코리아랩 아고라 개최 예정인 2025년 K-뮤지컬 지원사업 결과공유회에서 보다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jyya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