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실태 조사 결과 발표
플랫폼, 유튜브, 인스타그램, 네이버 클립 순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디지털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제작·유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 미디어 통신 위원회와 한국 전파 진흥 협회는 28일 '2025년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실태조사 결과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2025.11.28 oks34@newspim.com |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은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활동을 포괄하는 산업을 말한다. 관련 산업에 대한 경영 활동을 하는 사업체 1,000개를 표본 조사해 ▲매출 및 경영 ▲인력 ▲사업 등의 현황을 파악한 국가 승인 통계다.
작년 한 해 관련 사업체 수는 1만 1,089개이고, 매출액은 5조 5,503억 원, 종사자 수는 4만 3,717명이며 자체 제작 콘텐츠 수는 연평균 76.4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사업체 수는 총 1만 1,089개로 분야별로는 ▲광고/마케팅/커머스 6,346개 ▲영상 제작 및 제작 지원 4,154개 ▲크리에이터 마케팅 에이전시 등 491개 ▲온라인 비디오 공유 플랫폼 98개 순이었다. 총 사업체 수는 줄었으나 광고/마케팅/커머스 사업체가 대폭 증가해 관련 산업의 주력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 총 매출액은 5조 5,5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으며, 업체당 평균 매출은 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2% 증가했고, 5억 원 미만 업체가 71.7%(7,879개)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기업 종사자 수는 4만 3,717명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종사자 5인 미만 사업체가 여전히 85.7%(9,504개)로 산업 생태계가 영세 사업체 중심이며, 30대 이하 청년이 52.3%(2.3만 명)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41.9%(4,651개)로 연평균 76.4편을 제작했으며, 콘텐츠 유형은 ▲정보 전달형(39.5%) ▲리뷰형(32.5%) 순이고, 콘텐츠를 유통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유튜브(65.9%) ▲인스타그램(12.9%) ▲네이버 클립(7.9%) 순이었다.
강도성 방송 미디어 진흥 국장은 "해당 산업은 광고‧마케팅‧커머스 등과 융합해 새로운 형태로 확장되는 등 질적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 변화에 맞춰 디지털 크리에이터와 사업체의 고부가 가치 창출 및 글로벌 진출 등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붙임. 2025년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실태 조사 결과 정보 그림 (인포그래픽)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산업 매출액 증가
방송미디어통신위, 사업체 수‧매출액‧종사자 등 실태조사 결과 발표
디지털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제작·유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산업'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한국전파진흥협회는 28일 '2025년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 산업은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활동을 포괄하는 산업을 말한다. 관련 산업에 대한 경영활동을 하는 사업체 1,000개를 표본 조사해 ▲매출 및 경영 ▲인력 ▲사업 등의 현황을 파악한 국가승인 통계다.
작년 한 해 관련 사업체 수는 1만 1,089개이고, 매출액은 5조 5,503억 원, 종사자 수는 4만 3,717명이며 자체 제작 콘텐츠 수는 연평균 76.4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 사업체 수는 총 1만 1,089개로 분야별로는 ▲광고/마케팅/커머스 6,346개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4,154개 ▲크리에이터 마케팅 에이전시 등 491개 ▲온라인 비디오 공유 플랫폼 98개 순이었다. 총 사업체 수는 줄었으나 광고/마케팅/커머스 사업체가 대폭 증가해 관련 산업의 주력 분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 총 매출액은 5조 5,5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으며, 업체당 평균 매출은 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2% 증가했고, 5억 원 미만 업체가 71.7%(7,879개)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기업 종사자 수는 4만 3,717명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나 종사자 5인 미만 사업체가 여전히 85.7%(9,504개)로 산업 생태계가 영세 사업체 중심이며, 30대 이하 청년이 52.3%(2.3만명)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41.9%(4,651개)로 연평균 76.4편을 제작했으며, 콘텐츠 유형은 ▲정보 전달형(39.5%) ▲리뷰형(32.5%) 순이고, 콘텐츠를 유통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유튜브(65.9%) ▲인스타그램(12.9%) ▲네이버클립(7.9%) 순이었다.
강도성 방송미디어진흥국장은 "해당 산업은 광고‧마케팅‧커머스 등과 융합해 새로운 형태로 확장되는 등 질적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 변화에 맞춰 디지털크리에이터와 사업체의 고부가 가치 창출 및 글로벌 진출 등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붙임. 2025년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산업 실태조사 결과 정보그림(인포그래픽)
oks3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