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억 수준 회수 '낙관', 나머지는 '불투명'
[뉴스핌=노종빈 기자] 하나금융그룹 자회사 하나캐피탈이 미래저축은행 유상증자에 참여했다 물린 145억원을 되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24일 금융권 및 경매 전문가들은 투자원금의 회수 여부는 불투명하며 상당부분 되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하나금융 측에서는 "이미 회수 절차에 들어간 상황"이라며 "이미 성과를 내고 있으며 최대한 회수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투자원금 회수 가능성은?
이에 따라 가장 먼저 하나캐피탈의 투자원금 145억을 어떻게 회수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나캐피탈 측은 지난해 말 미래저축은행과의 유상증자 주식인수 계약서 조건에 풋백옵션(투자금회수)을 달아뒀다. 지난해 연말을 기준 자산건전성(BIS) 비율이 8%에 못미칠 경우 담보물을 매각한다는 내용이다.
하나캐피탈은 이를 근거로 이미 투자금 회수에 나섰고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하나캐피탈 측은 이미 80억원에 가까운 금액을 회수했으며 나아가 145억원 전액 회수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 그림 3점 매각으로 80억 이미 회수
이번 유상증자 거래에서 하나캐피탈 측은 김찬경 회장 친인척들을 연대채무자로 지정해 이들이 소유한 그림 5점과 아파트, 빌딩 등에 대해 담보를 잡았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가장 관심을 끄는 점은 유명 화가들의 작품 5점으로 이는 톰블리의 '볼세나-무제'와 박수근, 김환기 등 유명 작가들의 대표작들이었다.
이들 작품 5점은 서울옥션에서 발행한 감정서에는 총 150억원을 넘는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하나캐피탈 측은 이들 작품 5점에 대한 투자금 회수 차원에서 담보권을 실행, 서미갤러리에 경매를 위탁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지난 10일 '볼세나-무제'는 600만 달러(제반수수료 공제후 금액)에 매각돼 다음달 중순 경 70억원 가까이가 입금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박수근 작 '두여인과 아이'와 '노상의 여인들'을 각각 5억원과 6억2000만원에 경매를 통해 매각해 11억원을 추가 회수했다.
남아 있는 2점은 박수근 작 '노상의 사람들'과 김환기 작 '무제'로, 이들 작품이 감정가의 70%선에 경매 낙찰될 경우 대략 10억~12억원대의 추가 회수를 기대하고 있다.
당시 유상증자에서 하나캐피탈 측은 이례적으로 유명 작가의 작품을 담보로 잡아뒀기 때문에 더 큰 손실은 피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동산이긴 하지만 워낙 가치가 나가는 유명한 작품이었기 때문에 유통도 잘되는 상황"이라며 "리스크 대비 채권 보전방식이 취약한 경우였다면 투자할 일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서초동 빌딩·압구정 현대 담보가치 '아슬아슬'
하나캐피탈은 이와 함께 연대채무자들이 보유한 아파트와 빌딩의 매각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하나캐피탈 측은 현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50~60평대 추정)의 감정가는 20억원 수준이나 경매를 통해 12억원 수준 이상을 회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이 아파트는 채무자가 근저당 설정을 해놓은 상태여서 하나캐피탈 측은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먼저 진행한 뒤 가압류를 통해 회수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또한 미래저축은행 본사가 입주한 서초동 1331-2번지 빌딩의 경우 감정가는 455억원 수준이나 시세는 550억원을 호가하고 있는 것으로 하나금융 측은 주장하고 있다.
이 빌딩의 담보권 내역을 살펴보면 1순위는 국민은행으로 39억원을 담보설정했고, 전세보증금은 30억원 수준이다. 또한 2순위는 솔로몬저축은행으로 담보채권은 350억원, 설정금액은 455억원이 설정돼 있다. 하나캐피탈은 3순위로 설정금액은 188억원이다.
이 빌딩에는 하나캐피탈보다 선순위인 담보채권자들의 원금이 380억원 들어있는 셈이다.
결국 금융권 전문가들과 하나은행 측의 주장은 이 빌딩에서 얼마를 회수할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이며, 여기서 양측의 의견이 갈리고 있다.
하나캐피탈 측은 이 빌딩의 경매에서 낙찰가가 420억원대 이상만 돼도 투자원금에 가까운 금액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반면 2순위인 솔로몬저축은행의 계약 조건에 따라 원리금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여 하나캐피탈의 투자금 회수 여부는 그만큼 불투명해 보이는 상황이다.
◆ 김승유 전 회장보다 김종준 은행장 '더 부담'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의 본질은 투자원금 회수 여부와는 큰 관련이 없다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이보다는 김승유 하나금융그룹 전 회장이 하나캐피탈의 미래저축은행 유상증자에 관여했는지 여부라는 것이다.
하지만 투자의사 결정 당시 하나캐피탈 대표이사를 맡았던 김종준 현 하나은행장이 직접 관여돼 있어 더 큰 부담감과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모습이다. 김 전 회장은 지주사 회장이었던 반면 김 행장은 하나캐피탈의 대표로 실제 투자에 따른 책임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하나캐피탈 지분 50% 이상을 보유, 이사회를 통해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최대주주 하나은행의 책임론도 거론된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 측은 투자결정에 있어 전혀 고의성이 없었고, 미래저축은행 측이 10%의 투자수익성을 보장했던 점, 그리고 충분한 담보를 잡은 것을 볼 때 당시 유상증자 참여 시점에서 투자에는 문제가 없었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 과연 정상적인 투자였나 '논란남을 듯'
아무리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다고 해도 경영개선 절차를 밟고 있는 저축은행을 상대로 거액을 투자했다는 것은 정상적인 투자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금융권 전문가들은 하나캐피탈이 미래저축은행에 145억원을 사실상 편법대출해 준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 측 관계자는 "투자는 지극히 상업적인 판단에 의해서 투자했다"며 "항후 검찰 조사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 시점에서는 어떤 위법사실이 있어 기소가 진행되거나, 반대로 신뢰성이 없어 수사가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는 상황으로 본다"라고 덧붙였다.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노종빈 기자 (unt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