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강혁 기자] 재계 총수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에 따라 잇따라 수행외교에 나서고 있다.
이건희 삼성 회장은 이미 전용기를 통해 미국으로 출국했고, 정몽구 현대차 회장, 구본무 LG 회장 등도 속속 미국 방문길에 오르고 있다.
이번 박 대통령의 방미에는 재판 중인 최태원 SK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정치인인 정몽준 현대중공업 대주주를 제외하고 10대 그룹 총수들이 모두 수행에 나선다.
재계 총수들의 경제외교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3/05/04/20130504000010_0.jpg)
6일 재계에 따르면 이건희 삼성 회장은 박 대통령의 경제사절단 중 가장 먼저 미국행 전용기에 올랐다.
이 회장은 지난 4일 부인인 홍라희 리움미술관장,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차녀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과 함께 출국했다.
이 회장은 미국 서부 오리건주 포틀랜드를 경유해 동부 뉴욕을 거쳐 워싱턴으로 이동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6일 오후 12시35분께 김포공항을 통해서 로스앤젤레스로 출국한다. 정 회장의 해외출장은 올 들어 처음이며, 미국 방문은 지난해 8월 이후 9개월 만이다.
정 회장은 미국에 도착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차 조지아 공장 등 현지 사업장을 둘러볼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박 대통령과의 조찬과 미국 상공회의소 오찬에 참석한다.
구본무 LG 회장은 오는 7일 오후 3시경 LG전자 전용기를 타고 김해공항에서 워싱턴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과의 조찬과 미국 상공회의소 오찬에 참석한다.
이밖에도 신동빈 롯데 회장, 정준양 포스코 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와 최태원 SK 회장을 대신해 김창근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부회장)과 김승연 한화 회장을 대신해 홍기준 한화케미칼 부회장 등도 방미길에 오른다.
또, 중견·중소기업, 재계 경제관련 협회 인사 등 이번 박 대통령 방미에는 재계 총수 등 총 52명이 수행외교 활동을 벌이게 된다.
이처럼 재계 총수들이 대거 방미 경제외교 활동에 들어가면서 미국 재계와의 협력관계 모색과 신규투자 계획 등 다양한 성과들이 기대된다.
[뉴스핌 Newspim] 이강혁 기자 (ikh@newspim.com)